본문 바로가기

후기
2020.02.28 07:40

시즌강습 후기

조회 수 2540 좋아요 10 댓글 4

먼저 제 아랫글에 댓글 달아주신 모든 선배님들에게 일일히 감사의 답글을 드리지 못한 점 양해 드립니다.

 

제가 올해 첫 시즌을 보내고 강습을 받으면서 느꼈던 점을 적어서 저처럼 첫 시즌을 보내시려는

많은 초보자분들에게 혹시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시즌강습

 

1) 횟수

저는 시즌강습을 10회를 받았습니다.

통상적으로 다른 스키캠프를 보면 8회가 많은데, 돌이켜 보면 10회 정도가 딱 적당한 수준이였던 것 같습니다.

 

2) 1:1

시즌강습을 받는데 가장 주저하고, 1:1 또는 1:2, 1:3, 1:5등등의 옵션을 생각하게 되는 이유가 바로 강습비용때문일 것입니다.

 

제가 올 첫 시즌을 참 즐겁게 보내고 시즌이 끝나가는 것이 아쉬워서 시즌말 각 스키장별로 이벤트가 없나 찾다 보니깐 지산에서 수요일 모글강습회 (2월26일 시즌 마지막 강의)가 있다고 하여 갔다 왔습니다.

모글을 처음 하는 것이였기 때문에 입문반으로 하여 1:9로 강사님 한분 뫼시고 무료강습을 받았습니다.

 

물론 무료강습의 성격도 있어서 그렇겠지만 2시간30분 남짓 되는 1:9 강의는 참 뭔가를 배우고 피드백을 받아서 다시 연습해 보고의 그런 과정을 겪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모글을 처음 접해 볼수 있는 너무 좋은 시간이었음에는 분명합니다)

 

시즌강습을 받으시려면 무조건 1:1로, 너무 비용 부담이 크시다면

최소한 1:2로는 받으시는 것이 본인의 기술발전을 위해서 훨씬 빠른 길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시간적으로도 1:1로 하는 것이 스케줄 변경이 매우매우 용이하고 기술적으로도 오롯이 강습자의 문제점만을

집중 피드백 받기 때문에 그 이상의 옵션에 비할바가 아닙니다.

 

3) 강습주기

30회 이상의 스키장 출격이 기술발전에 필수다라는 여기 선배님들의 말씀이 정말 맞는듯 합니다.

30회 이상 출격을 하기 위해서라도 시즌강습을 주2회 받는 것이 좋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주2회면 시즌강습 10회가 12월중말 시작하면 대략 1월말/2월초면 끝나고 2월중말에 레벨1 도전하시면 적당합니다.)

 

주2회가 좋은 이유는 초보자다 보니깐 주1회를 강습받고 일주일을 혼자 연습하고 다음 강습을 받을때면 그 주기가 길어서 연습할때 궁금한 사항을 물어보고 피드백을 받지를 못하고, 또 혼자 연습하는 일주일 동안 잘못된 자세로 연습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되도록 주2회로 받는 것이 (시간이 되시는 분이라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4) 비디오 촬영

강사님들이 알아서 해주시는 분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매 강습때 마다 한번씩 핸펀으로 동영상 촬영을 부탁해 보세요

내가 이렇게 스키를 탔다고???????????? 하면서 스스로 깜놀할때가 많으며, 저처럼 좋은자세로 스키를 타고 싶어하는 분들이라면 필수중의 필수이며 자세 교정에 상당한 도움이 됩니다.

 

5) 강습중 좌절시기

시즌 10회 강습을 받으면서 스노우플라우턴, 스템턴, 패러렐턴, 베이직 숏턴을 강습받았습니다.

크게 2가지 기술을 배울때 좌절감을 많이 느꼈는데, 하나는 스노우플라우턴과 베이직 숏턴이었습니다.

가장 시즌강습 큰 돈주고 잘 배웠다고 생각했을때는 패러렐 턴을 어느정도 할때였습니다.

 

양지파인 리조트는 초보슬로프 다음으로 가는 중급슬로프로 챌린지가 있는데, 이게 단점이 중상단이 너무 경사가 심해서 초보 옐로우 슬로프에서 넘어가기가 매우매우 어렵습니다. 완사에서 하던 스노우 플라우턴을 가지고 경사가 심한 챌리지 슬로프에서 스노우플라우를 할때 첫번째 좌절을 보았습니다.

 

그래도 스노우플라우 자세 자체가 중사면 이상에서는 사실 원래 어려운 자세였기 때문에 그런대로 위안을 하면서 보냈습니다.

 

다음으로 가장 큰 좌절감을 느낀건 숏턴을 배울때 였습니다.

시즌 10회중 7,8,9,10회를 숏턴을 배우고 1주일 후에 레벨1 시험이 있었는데 정말 시험을 연기하고 싶을 정도로 숏턴을 흉내내기도 버거웠습니다.강사님이 시범을 보일때는 아 저렇게 하는 구나라고 하면서 막상 제가 해보면 그 느낌이 전혀 나지 않아 진짜 상당히 좌절을 많이 했습니다. 레벨1 시험 보기전 2주동안 비가 와도 슬로프에 나가 연습, 연습 해서 겨우 겨우 시험 보기 전날 아주 살짝 흉내라도 내볼수 있게 만들어 놓고 가서

딱 70점을 받았습니다.

 

레벨1 시험 이후에도 스키장에 가면 다른건 안하고 숏턴만 연습하는데, 지금은 중사면에서는 그런대로 나아 졌는데, 중사면 이상에서는 여전히 어렵고 버겁습니다.

 

6) 기타

- 스케이팅 활주: 스케이팅 활주는 조금 긴 평지를 이동하거나, 약간의 오르막 길을 이동해서 리프트를 향할때 반드시 필요한 기술입니다.

근데 스케이트를 타본적이 없는 저로서는 스케이팅 활주를 하는 스키어들이 너무너무 부러웠습니다.

 

그렇다고 강사님한테 몇번 물어봐서 요령을 배우긴 했지만, 쉽게 되지는 않더군요

양지에는 초급슬로프로 가려면 약 30미터의 평지를 이동해야 하는데, 항상 초급 슬로프 이동시에 이 악물고 스케이팅 활주가 될때까지 매번 슬로프 갈때 올때 마다 연습을 하니 스키장 8회정도 가니깐 그제서야 좀 스케이팅 활주가 되었습니다.

스케이팅 활주의 핵심은 인엣지 + 체중이동 (역시나)입니다. 스케이팅활주가 되니깐 개각등행도 그냥 되더군요.

 

7) 욕심

스키를 처음 시작할때만 해도, 패러렐만 잘 해도 너무 너무 좋겠다 했는데, 시즌 마무리 되는 시점이 되니 슬로프를 카빙으로 다이내믹하게 고속으로 내려오시는 분들을 보면 빨리 20/21 시즌이 와서 카빙을 배우고 싶다는 생각이 드네요

 

Comment '4'
  • ?
    미등록 2020.02.28 09:21
    동감입니다.<div>저도 이번 시즌 1:1 시즌강습 10회(가난한 유부라 1년 모았습니다..ㅠㅠ)</div><div>결론은 대만족 저도 레벨1 합격했어요^^</div><div><br></div><div>이걸왜 이제 받았나 싶을정도로 만족 합니다.</div><div>연습은 정말 많이 했습니다</div><div>출격횟수가 60번 이더라구요^^</div><div><br></div><div>다음 2021시즌이 너무 기다려집니다.</div><div><br></div><div>저도 카빙하는 그날까지 열심히 연습할것입니다~~^^<br></div>
  • ?
    팔삼 2020.02.28 09:40
    동감 동감~~^^
    저도 진짜 페러럴만 잘타보자고
    시즌강습이란걸 처음 받았는데요 총 10회
    4시간 타임 으로 받았습니다 주말 스키어라서
    여태까지 시즌중 최고로 열심히 탓습니다

    9시 땡 오후 1시까지 바득바득 탓네요

    여태까지 내가 자신하던 스노우플라우턴은
    진짜로 탄게 아니더라는 ㅠ ㅠ

    시즌 마지막 이번주 1회 남겨놓고 있네요
    페러럴은 만족스럽습니다만 숏턴에서
    ㅠ ㅠ 좌절감이 ㅎ ㅎ 하기사 올시즌 숏턴이란걸 처음 연습해보니~~^^

    처음 스노우플라우턴이 안돼서 때려치우고
    접을까도 생각햇지만 강습받고 무전기로 지도받고 비디오로 폼 체크 하면서 머가 문제인지 현장에서 바로바로 알려주시니
    스키가 늘수밖에 없겟죠 진작 시즌강습을
    받는건데~ㅠ ㅠ 그리고 또하나의 즐거움은
    저포함 네분의 강습생들과의 즐거운 스킹 이었습니다 년차도 비슷하고 실력도 비슷해서
    서로 격려도 하고 응원도 하고 때로는 소주잔도 나누면서 즐거운 스키를 즐길수가 있었어요 철저히 혼자타는 스키지만 같이 타야 즐거움이 배가 되는 ~~^^ 그릅 스킹도 나쁘지 않습니다~~^^

    내일 마지막 강습 과 쫑파티를 하고 일요일
    이번시즌 마지막 스킹하고 시즌 접네요

    아무쪼록 다음시즌에도 즐겁고 행복한 시즌이시기를 희망합니다~~파이팅~~^/^

    빌어먹을 코로나 때문에 블란서 알푸스 스키여행도 캔슬 되어버려서 울고싶지만 내년에
    가면되죠~~^^파이팅~^^
  • profile
    영화배 2020.02.28 11:08

    모든 분들이 스키배워가는과정과  여려웠던 고비들이 모두 비슷하군요

     

    저역시도 포기하고싶었던 기억이있담니다

     

    블란서 알프스라 오래간만에 들어보네요 예전에 다그리 표기했었지요

  • ?
    최선 2020.02.28 23:02
    시즌강습에 만족하고계시니 저도 관심이 갑니다
    강습받으실때 본인의 동영상을 보유하고 계실듯한데 보겐,베이직 롱 턴, 베이직 숏 턴 등의 영상자료를 공개해주시면 강습의 효과를 피부에 닿게 느낄 것 같은데요

    보통 '강습 만족합니다' 또는 '실력향상에 도움이 됩니다'라는 후기에 주장만 있고 자료들이 많지 않아서 댓글로 남겨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좋아요
9828 후기 4월 13일 스키장이 아닌 곳에서 스키를 타봤습니다 ㅎㅎ 19 안영종 2020.04.16 2588 11
9827 잡담 새 자전거 식구 - 프레임셋 교체 7 file 전형욱 2020.04.06 907 0
9826 단상 2020년 봄... 영화 '클래식'을 다시 보다. 박기호 2020.03.20 554 1
9825 잡담 유럽 코로나 확산의 또다른 주범! 스키장에서 벌어진 '코로나 파티' 5 file 임성희 2020.03.19 1521 3
9824 동영상 우연히 보게 된 초딩 9 file 유지훈 2020.03.07 2622 5
9823 잡담 스키여행 포기 고민, 새 모굴스키 등 6 file 전형욱 2020.03.07 1160 0
9822 잡담 저는 보더입니다만 가족들이 스키를 타게 되어 넘어와(?) 글을 써 봅니다. 반갑습니다. ^^ 14 홍언표 2020.03.05 1167 13
9821 잡담 도대체 왜 이러는 걸까요? 16 file 이동구 2020.03.04 2982 9
9820 기타 베이스 수리 5 file 전재현 2020.03.02 1461 2
9819 잡담 배우 한지혜 씨의 - 도전!!! 스키지도요원 자격시험_티칭2 9 file 박순백 2020.02.28 3952 7
» 후기 시즌강습 후기 4 권우철 2020.02.28 2540 10
9817 잡담 나의 스키 이야기 3 김규영 2020.02.24 920 9
9816 잡담 나의 스키 이야기 2 김규영 2020.02.24 793 5
9815 감사 지난 10년의 사랑나눔스키캠프 - 이번 시즌에 종료하였습니다. 4 file 박순백 2020.02.24 1001 6
9814 잡담 나의 스키 이야기 3 file 김규영 2020.02.24 931 10
9813 기타 스키 전국단위 대회 취소는 왜 안 하죠? 31 전재현 2020.02.23 2413 4
9812 단상 19-20 겨울... 낭만, 고독, 사색 그리고 미소 5 박기호 2020.02.19 817 5
9811 잡담 생애 첫 19/20시즌 11 권우철 2020.02.18 1155 10
9810 단상 스키와 직접 관련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질문과 답변에 관한 제 생각을 적어 봅니다. 4 둥이아빠 2020.02.17 1258 16
9809 기타 [분실] 곤지암 시즌권 한국민 님 홍주하 2020.02.16 809 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 511 Next
/ 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