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07.55.93) 조회 수 2122 좋아요 0 댓글 9

저는 제 자신이 스키 못탄다고 생각하는데

 

스키장 평생 1~2번 갔다왔거나 (단체강습/워크샵) 잘 모르시는 분들은 저보고 스키 잘탄다고 하더라고요

그건 일반인 기준이고 전문적으로 봤을때 어느 정도 수준인지 궁금합니다.

 

실력은 티칭1 레벨1

 

자신있는건 패러럴 롱턴

숏턴은 숙련 부족으로 찍턴 납니다.

 

폴 잡는 팔은 처음에 스키 배울때 폴 없이 배워서그런지 어색하고 경직된 느낌 있습니다. 이건 안 고쳐지더라고요

 

카빙은 숏턴 찍턴 벗어나면 배울 생각입니다.

 

제가 알고있는 지식으로 레벨1 따면 초보자 티 벗고 스키에 대해 조금 이해한 수준인가요?

Comment '9'
  • profile
    일월여신|한상률 2018.11.29 09:09 (*.87.60.233)

    레벨 1이면 이 사이트나 스키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초급을 떼고 이제 중급자로 들어갔다고 볼 정도입니다만, 슬로프 가리지 않고 탈수 있으며 숏턴이 되니까 일반인 (시즌권을 사지 않고, 한 시즌에 한두 번 타는)에게는 매우 잘 타는 수준으로 보일 겁니다. 평생 몇 번 안 타는 일반인 보기에는 레벨1이나 데몬스트레이터나 그리 다르게 보이지 않습니다.  

  • ?
    상체고정맨 2018.11.30 10:38 (*.223.26.28)
    저 한가지 더 질문이 있습니다
    분명 레벨1보다 티칭1이 합격률도 낮고 취득하기 힘든데(시험과목은 같지만요)
    왜 레벨을 더 높게 쳐주는지 궁금합니다
    다들 스키 탄다고 하면 레벨 있냐고 먼저 물어보시더라고요
  • profile
    일월여신|한상률 2018.12.01 18:35 (*.111.20.207)
    꼭 더 높게 쳐주는 건 아닙니다. KSIA의 레벨과 장업협회 레벨은 검정 방식이 다른데, 연맹 레벨은 티칭 과목이 있으며, 소수 인원이 정강사 이상 시험감독관과 함께 스킹을 하면서 여러가지 문제점을 피드백 해주고 판정하는 방식이라, 장업협회나 과거의 KSIA 레벨테스트처럼 그냥 타는 모습만 보고 합격 불합격만 판정 통보하는 방식보다 인정을 받을 요소가 있는 것이지요. 꼭 어느 쪽이 더 낫다는 건 아닙니다.
  • ?
    정재현 2018.12.03 00:38 (*.223.26.28)
    궁금중이 풀렸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
    상체고정맨 2018.11.29 09:47 (*.223.26.28)
    제가 중급자라니 ..
    어색하네요ㅎㅎ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
    재하이 2018.11.30 08:06 (*.218.198.37)
    레벨1(티칭1) 자격을 취득하셨거나 또는 누가봐도 그에 준하는 실력이라면 여기 기준 중급자 맞습니다.
  • ?
    상체고정맨 2018.11.30 10:35 (*.223.26.28)
    티칭은 모르겠지만 레벨은 4까지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br>레벨1과 2의 갭차가 너무 커서 <br>레벨1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가 궁금해서 질문글 올려봤어요(지인들이 저보고 스키 잘탄다며 & 잘타나? 라고 물어보면 답변해주기 조금 곤란해서요ㅎㅎ레벨1은 합격률도 높고 기본만 할줄알면 합격하는걸로 알고있어서요 레벨2만 됐어도 당당히 잘탄다고 말했을텐데요..
  • ?
    나웅이 2018.11.30 00:30 (*.34.116.43)
    스키타고 걷는 것도 힘든 입문자
    초중급사면에서 보겐이 자유로운 초심자
    스템과 패러렐턴을 중급에서 자유롭게 하는 초급자
    숏턴과 카빙턴을 익히고 주행하는 중급자
    모굴, 급사면에서 모든 기술을 수행하는 상급자(레벨2)
    기술 수행의 정확함이 매우 높은 최상급자

    정도 아닐까요
  • ?
    상체고정맨 2018.11.30 10:24 (*.223.26.28)
    숏턴 찍턴과 카빙은 커녕 레일턴도 안배워서 <br>어정쩡한 중급자네요ㅎㅎ<br>이번 시즌에 제대로 된 중급자가 되어야겠습니다 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좋아요
공지 당근에서 산 부츠입니다. 초콜릿인줄... 7 file 이춘화 2023.01.25 4240 4
공지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 스키 장비 고르기 - 최현준의 스키 스킬 file 박순백 2022.10.11 4460 3
2327 스키 자세 질문드립니다 21 joshua19 2018.12.04 1650 1
2326 스키... 시작해도 될까요? 20 김민섭 2018.12.03 1378 0
» 스키 수준 구분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9 상체고정맨 2018.11.29 2122 0
2324 플레이트 모양 차이점 1 file 문영조 2018.11.27 930 0
2323 휘팍에서 강습 같이 받으실 분ㅠㅠ 3 문영조 2018.11.22 1355 0
2322 슈트 구매하려고 하는데 사이즈 좀 알려주세요 ㅜ.ㅜ 5 이승준 2018.11.21 418 0
2321 초보자 장비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9 구한솔 2018.11.19 941 0
2320 스키장비 질문입니다 임현호 2018.11.18 488 0
2319 스키 구매 조언 부탁 드립니다. 1 구강원 2018.11.15 797 0
2318 초보자 (여자) 스키 장비 조언 1 송재인 2018.11.14 786 0
2317 숏턴에 대한 궁금증 6 file 하하마마 2018.11.12 2914 1
2316 아토믹 레드스터 CLUB SPORT 90 LC 구매했는데요... 2 file 이선아 2018.11.12 627 0
2315 바인딩 조절 방법 2 file 최성근 2018.11.07 1048 0
2314 초보 장비로 이거 어떤가요? 3 이선아 2018.11.04 1085 0
2313 고수님들 장비 추천 부탁드립니다. 4 고규원 2018.10.28 586 0
2312 선배님들 조언 부탁드립니다ㅠㅠ 11 file 문영조 2018.10.26 829 0
2311 초보 장비좀 봐주셔요 11 박경동 2018.10.24 827 0
2310 초보자 장비 구입 및 시즌강습 질문 3 file 최정운 2018.10.13 1186 0
2309 혹시 스키 수리 잘 하는 곳 아시는 분 계실까요? 3 file 정유영 2018.10.09 752 0
2308 안녕하세요 가입인사 드립니다.... 더불어 초심자용 장비 구입하려는데 한번 봐주셔요.. 2 file 정성환 2018.10.04 620 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28 Next
/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