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380 좋아요 437 댓글 22
QnA란에 '자동차 엔진오일을 베어링에 사용해도 좋은가?하는 질문이 올라왔습니다. 저는 점도(viscosity) 문제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는 댓글을 올렸는데, 이후에 댓글을 다신 어떤 분에게 바보 취급을 당하고 말았네요. 쩝. 그 분이 다시 정중히 사과의 글을 올리시긴 했지만, 뺨 때려 놓고 미안하다고 하기보다는 뺨을 때리지 않는 것이 좋겠지요.

여전히 그 분은 '자동차 엔진오일이 최고다.'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계셔서 저 나름대로 이것 저것 찾아본 것들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여기에 여러 분들의 의견이 보태어지면 상당히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을 것 같아 이 게시판에 글을 올립니다만, 적합하지 않다면 다른 게시판으로 옮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베어링에서의 윤활제 선택에 있어서 가장 결정적인 요인은 베어링의 동작 온도입니다. 그렇다면 인라인 스케이팅 시의 베어링 온도만 알 수 있다면 윤활제의 선택이 매우 쉽겠는데, 그 온도에 대한 정보를 알 수가 없더군요. 혹시 이 온도 측정해 보신 분 계신가요? ^^;

그런데, 여기 저기 찾다 보니 NTN 베어링 사이트에 다음과 같은 글이 있더군요.( http://www.ntnamerica.com/Tech_Supplements/news13.htm ) 글 중에 보면 대부분의 경우 베어링의 동작 온도는 40도에서 70도 사이라고 합니다. 이 온도에 대한 감이 쉽게 와 닿지 않는데, 60도 정도만 되어도 뜨거워서 손으로 오래 잡고 있을 수 없는 정도라고 합니다. 인라인 스케이트의 경우는 일반적인 베어링의 입장에서 보면 상당히 저속 동작에 해당합니다. 시속 30km의 속도로 달리더라도 100mm 휠의 경우에는 약 1600 rpm, 84mm 휠의 경우에는 1900 rpm 정도이니까요. 그래서 저는 인라인 베어링의 동작 온도는 70도보다는 40도에 가까울 것으로 추정합니다.

그렇다면 어떠한 온도 하에서 베어링에 적합한 윤활제의 점도는 어느 정도일까요? 위에 언급했던 ntn 베어링 사이트의 글에 보면 볼 베어링(ball bearings)의 경우 적합한 윤활제의 점도는 13cSt 정도라고 합니다. 다시 정리하면 40도 정도의 온도에서 13cSt 정도의 점도를 가지는 윤활제가 인라인용 베어링에 적합한 윤활제입니다.

이제 자동차용 엔진오일을 보겠습니다. 아래 데이터들은 국산 엔진오일 중에 가장 인지도가 높은 지크(ZIC)의 데이터입니다.(출처 : http://www.skzic.com/kor/product/product01_04_zicxq.asp ) 다른 엔진오일들도 SAE 표기가 같다면 큰 차이는 없습니다.

ZIC XQ 5W40        40도 82.2 cSt        100도 13.6 cSt
ZIC TOP 5W50        40도 118.7 cSt        100도 18.5 cSt
ZIC A 5W30        40도 65.52 cSt        100도 10.5 cSt

40도에서의 점도는 65.52~118.7cSt 정도입니다. ball bearing에 적합한 13cSt와 비교했을 때, 5배에서 9배까지 차이가 납니다. 물론 이것은 인라인 베어링의 동작 온도를 40도로 보았을 때의 비교입니다. 하지만 엔진오일에서 13cSt 의 점도는 대략 100도 정도의 온도에서 나오는군요. 인라인 베어링의 온도가 100도라면 자동차 엔진오일이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겠습니다만...

사실 '인라인 베어링 전용 오일의 가격이 터무니 없이 비싸다!'라는 생각은 많은 분들이 하실 것입니다. 최고급 엔진오일이라는 Mobil1도 1L에 12,500원인데(Motul 같은 것도 있긴 하죠.^^;) 15g도 안 되는 소닉 수퍼 오일이 만원 가까이 하다니요. 일각을 다투는 선수들이야 미세한 성능 향상을 위해서 그 정도 투자가 아깝지 않겠습니다만, 로드를 즐기는 수준의 일반적인 아마츄어 인라이너들에게는 충분한 성능을 내는 훨씬 저렴한 대안이 있을 것 같습니다. 제 지식이 짧아서 '그 대안은 바로 이것이다.'라고 말씀드리지 못하는 것이 아쉽습니다만, 여기 들르시는 분들의 지식이 조금만 모이면 그 대안이 어렵지 않게 찾아지리라 기대합니다.
Comment '22'
  • ?
    유용 2005.08.24 17:48
    이미 예전에 (2002년도)에 엔진 오일이 인라인 베어링용으로 적합한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습니다. 검색을 생활화(?) 하시면 같은 내용들이 반복해서 논의되고 잘못된 댓글들이 올라 오지 않을텐데 그런 부분이 다소 아쉽습니다.

    위의 정보 내용대로 엔진 오일을 인라인용 베어링에 적용시 가장 큰 문제점은 점도 입니다.
    엔진 오일의 성분이야 어느 것 하나 인라인용 베어링에도 이롭지 않을 것이 없습니다만 불행히도 그 점도가 높아서 속도의 저하를 가져옵니다.
    엔진 오일이 좋다면 아마추어 뿐 아니라 선수들도 전부 엔진 오일을 쓸테지요.

    윤활물질의 점도가 베어링의 회전력을 얼마나 많이 떨어뜨리는지에대한
    테스트 결과는 미국 모게마 사이트 (mogemausa)에도 나와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겁니다.

    엔진 오일과 인라인용 오일의 성능차이는 공업용 베어링과 인라인용 베어링의
    차이보다도 쉽게 몸으로 느껴집니다.
    그 차이를 못느끼신다면 그게 더 이상한 일입니다.

    가격적인 면에서 볼때도
    저의 경우 일주일에 100-120키로 정도 달리는데 아직 2년동안 만원짜리
    트리플로우 한 통을 다 못쓰고 있습니다.
    1리터 짜리 엔진 오일을 쓰려면 아마 온 가족과 친척들이
    모여앉아 200년 동안 인라이닝 할 수 있을 겁니다^^.
    쓸데없이 많은 양이므로 오히려 더 낭비입니다.

    만원짜리 하나 사서 3년 정도 쓴다면 그것이 비싼 것이라고 할 수는 없을겁니다.

    앞서 사랑방에 미싱오일에 관한 질문이 올려져 있어서 그것에 대해서 첨언하자면
    점도도 인라인 베어링용으로 쓸만한 정도라서 엔진 오일의 경우처럼 속도저하의
    느낌은 없지만 비교적 증발이 빨라서 정비 주기가 짧아지며
    테프론계 오일 처럼
    베어링 볼을 코팅해서 보호하는 능력이 없으므로 베어링 수명이 짧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베어링이 일찍 손상된다면 오일 가격 아끼는 것보다 더 큰 지출이 되겠지요.

    그냥 속편하며 성능 좋은 인라인 베어링용 오일을 쓰는 것이 최대한의 경제적 이득입니다.



  • ?
    유용 2005.08.24 17:55
    혹시 자동차 엔진 교환 중에 공짜로 엔진 오일을 얻을 수 있고
    한편으로 인라이닝의 속도에 크게 연연하지 않는 경우라면 엔진 오일을 쓰셔도 좋겠지요.
  • ?
    김성우 2005.08.24 22:42
    윤활에 있어 온도는 중요합니다 눈으로 봐선 잘 모르지만 손으로 만져 다섯을 셀수 있으면 65~70도 봅니다(피부뚜께에 따라 다소 차이가ㅡ.ㅡ) 셋밖에 못 세었다 이건 발열이라고 합니다 베어링 트라블발생 시점이죠 80~90도이상입니다
    베어링을 감싸는 하우징이 인라인에선 허브가 되겠네요 밀폐식이냐 공기냉각식이냐도 차이가 있읍니다 인라인베어링은 후자와 가깝죠
    엔진오일은 내연 기관에 쓰는 윤활유입니다 엔진챔버는 온도가 높고 공기에 의해 산화되기 쉬우므로 정제한 다음 산화 방지제, 청정 분산제 ,방청제등을 섞어 만드는 공정을 거쳐야 합니다 그러나 인라인 베어링용은 제가 보기에 유성과 점성공정 다시말해 유막이 깨어지지않고 안정한 상태의 성질...또 점도가 변질되지않는 성질을 꼭 거쳐야 하겠고 나쁜오일은 뚜껑개방후 오래되면 색이 변하는것도 있죠온도는 자연공기냉각과 개방식이라 크게 문제되지않아 보이고요
    윤활유 드럼통을 보면 대개 뭐 터빈유46...기어유220...근데 쉽게 생각하면 숫자번호가 작을수록 묽다고 보시면 맞읍니다 참고하시길
  • ?
    이철우 2005.08.25 00:37
    아이고~~...구리스 넣고도 씽씽 잘만 굴러가는데요 머~~..자동차 오일 좀 넣는다고 뭐 얼마나 안굴러가겠습니까?...^^....
    진짜 선수들이야 0.0001초 다투기 위해 전용오일 쓸 수 있겠지만 그냥 동호회 차원에서는 전용오일이면 어떻고 엔진오일이면 어떻습니까?....
    그냥 본인이 쉽게 구할 수 있고 즐길 수 있으면 장땡이지요..너무 어렵게 살지 맙시다!!...
  • ?
    유종국 2005.08.25 07:12
    저도 이철우 님의 의견에 동감합니다 인라인 타는것의 주목적은 즐거워야 된다고 생각하므로...
  • ?
    김인호 2005.08.25 07:27
    최고는 베어링실드를 열지않고 타는게 장땡입니다
    실드개방부터는 개방한 사람의 책임입니다
  • ?
    윤준선 2005.08.25 08:30
    동네야구 하면서 투스용 글러브가 없어서 투수 못하겠다고 하는 상황같네요^^
    일부 정열이 넘치는 분들께서 레져스포츠를 즐기면서 선수처럼만 타려고 하니 자꾸 정열이 다른데로 새는것 같단 느낌도 듭니다.

    이런 정열이 있어서 우리나라가 이만큼 발전하기도 했겠지만...

    저는 손에 잡히는대로 넣습니다. 전용오일이 따로 있다는것도 최근에야 알았고 ㅜ,ㅜ
    아무리 생각해도 장비탓을 할만큼은 잘타지 못하는것 같으니.
  • ?
    한상률 2005.08.25 09:00
    알맞 않는 오일을 쓰면 처음엔 별 차이 없어도 점점 성능이 떨어지고, 안 즐겁게 됩니다. 윤활제 없이 (방청제만 들어있거나 아무 것도 없이) 나오는 일부 경기용 베어링을 빼곤 처음에 그리스나 오일이 다 들어 있으니 그대로 쓰시는 게 가장 마음 편합니다. 피트니스용 스케이트 베어링에 들어 있는 그리스는 흙길이나 물에만 안 들어가면 별 정비 없이 한두 해는 너끈히 탑니다.
  • ?
    박지웅 2005.08.25 10:35
    저도 트라이플로우 씁니다만, 작은거 한통에 8000원주고 사서 이사람 저사람과 나눠쓰면서도 2년 넘게쓰고 있습니다.

    인라인 전용오일 생각보다 비싸지도 않고 엔진오일쓰는거보다 환경에도 좋은거 같습니다
    (물론 양에 비해서는 엄청나게 비쌉니다만, 50ml를 2년넘게쓰는데 1리터씩 판매한다면 더 큰 낭비겟죠^^)
  • ?
    유용 2005.08.25 10:55
    이철우 님/ 능력이 좋으신 분은 그리스를 넣건 엔진 오일을 넣건 잘 굴러갑니다. 하지만 인라인 베어링용 오일을 쓰면 더 잘굴러갑니다. 이것은 0.0001초의 차이가 아니라 저급 베어링과 고급 베어링의 속도 차이보다 오히려 큽니다. 이것을 논하는 것이 너무 어렵게 사는 것이라면 고급 베어링을 찾거나 좀 더 좋은 프레임과 휠을 찾는 사람은 세상을 어렵게 살다가 골이 아파서 죽을지도 모를 사람들일 겁니다.

    유종국 님/ 인라인 베어링용 오일을 쓰지 않으면 인라인의 주목적이 즐거움이고
    인라인 베어링용 오일을 쓰면 주목적이 달라진다는 건지요?
    오일 하나 신경써서 바꿨을 뿐인데 인라이닝의 주목적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황당합니다.
  • ?
    정소재 2005.08.25 12:21
    한가지 질문입니다.
    전용 오일의 물성은 어떻게 되나요?
    제시하신 데이터 만큼의 물성에 충실하게 제조되고 있는지 의문입니다.
    통상 전용오일에는 어떤 물성치 표시가 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어쩌면 전용오일은 구름성이 뛰어나다 라고 느끼는 플라시보 효과일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 ?
    손인태 2005.08.25 14:10
    개인적으로 평상시엔 트라이 플로우의 그리스(70%)와 오일(30%)을 섞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대회 나갈때는 트라인 플로우 오일만을 사용하지만 말입니다. ^^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전 개인적인 느낌과 가격, 그리고 정비 주기를 가지고 선택을 하였습니다.
    제가 평가하기에 가장 좋은 느낌을 준 것은 와코스 불소 오일이었습니다.

    남들의 추천도 참고하지만 그냥 이 제품 저 제품 접할 기회가 있을때 마다 사용해 보고
    개인적인 느낌과 여건에 따라 선택을 하는게 제일 낫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

    카센터에서 조금 얻어 사용했던 자동차 엔진오일은, 정비주기는 꽤 길지만 그리스를 넣은 경우보다 더
    스케이팅을 힘들게 해서 사용하기가 싫더군요. ㅡ.ㅡ;;;
  • ?
    이경호 2005.08.25 15:23
    트라이플로우나 와코스 라스페네정도면 아주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엔진오일뿌리면 기름때가 장난 아닙니다.
    하지만 각자 상황에 따라 미싱오일이면 어떻구 백등유면 어때요.
    단지 타다 보고 좋은 제품을 접했을 때 정보를 나눠주는 고수님들이 고마울 따름이죠^^
  • ?
    성동수 2005.08.25 15:59
    그냥 구리스 베어링이 장땡이지요 뭐~~..^^...다들 신경쓰시는 프리스핀도 잘 나오고 정비걱정도 없고 오래쓰고 싸고~~..잘 굴러가고...쓸데없는 논쟁은 이제 그만~~~
  • ?
    박순백 2005.08.25 16:05
    [성동수 선생님] 이건 쓸 데 없는 논쟁이 아닙니다.

    다른 분들도 다 그리스를 써 본 사람들이고, 그 외의 다양한 오일류를 경험한 사람들입니다. 그런 귀중한 경험들을 표현하는데, "쓸 데 없는 논쟁"이라고 한 마디로 규정해 버리시면 대단히 곤란합니다. 이런 경험의 교류는 우리 나라 인라인의 발전을 위해서도 많이 행해져야 합니다.

  • ?
    이철우 2005.08.25 17:00
    구리스에 백만스물다섯표!!
  • ?
    김민수 2005.08.25 21:32
    본문에서 언급하신 점도에 맞는 SK 제품은 SK Spin Series(10. 15)제품일 것 같습니다.
    제품의 특징 및 Spec.은 아래와 같습니다.

    제품의 특성
    · 우수한 내마모성/방청성
    SK 슈퍼스핀 제품은 고도로 정제된 합성계로 분류되는 최고급 기유로 제조되었기 때
    문에 점도지수가 높고 내마모성, 방청성 및 수분리성이 우수하여 스핀들의 마모방지,
    동력비의 감소, 부식방지에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며, 장시간 사용해도 점도변화가
    적어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 탁월한 경제성
    SK 슈퍼스핀 제품은 고속으로 운전되는 기계의 윤활에 적합한 제품으로 스핀들의 관
    리, 유지비와 동력비를 크게 절감시켜 줄 수 있어 경제적입니다.

    · 뛰어난 청정성
    SK 슈퍼스핀은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청정성능을 개선시킨 제품으로 사용 후 검
    게 변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것은 품질이 손상된 것이 아니라 기계의 불순물을 제거
    하였기 때문이며, 기계의 운전에는 지장이 없습니다.
    제품의 용도
    - 스핀들, 고속회전 베어링
    - 낮은 점도가 요구되는 유압시스템
    대표 성상
    시험항목 시험방법 10 15
    비중 ASTM D1298 0.86 0.84
    점도40 ASTM D445 9.7 14.0
    색상 ASTM D1500 L0.5 0.5
    유동점 ASTM D97 -30 -30
    인화점 ASTM D92 170 180
    동판부식 ASTM D130 1-a 1-a
  • ?
    하태화 2005.08.25 22:46
    인라인 전용오일이냐, 자동차 엔진 오일이냐? 둘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저 같은 아마추어 즐기는 인라이너는 특별히 인라인 전용 엔진 오일 보다는 [자동차 엔진] 오일 사용합니다. 2개다 써봤지만 사실 큰 차이를 못 느낄 만큼 인라인 실력이 허접합니다. 제 경우에는 자동차 엔진 오일 갈때 가장 점도가 낮은 [합성유] 의 [5w30]의 엔진오일을 사용해 봤는데, 인라인 즐기면서 스케이팅하는데 문제 없었습니다. 그리고 엔진오일갈때 작은 음료수병에 조금만 달라고 하면 그냥 주더군요. 저처럼 자주 정비하는것에 조금은 지치고 게으른 사람에게는 적격이더군요. 문제는 기온이 높은 여름에 주로 [엔진 오일]을 사용하고 날씨가 추워지는 가을과 겨울에는 [인라인 전용 오일]을 혼용해서 씁니다. 또한가지 자동차 엔진 오일을 쓸 경우 약간의 비를 맞거나 날씨가 습한 날에도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만큼 물에 대한 내성이 상대적으로 강해서 그런대로 괜찮다고 말씀드리고 싶군요
  • ?
    이청 2005.08.26 08:23
    =========================================================================
    쉘 스핀들 오일 60 (Shell Spindle Oil 60)


    방직기계 고속 스핀들유

    용 도:
    방직기계의 고속 스핀들의 특성을 감안하여 제조된 고급 스핀들 오일

    특 징 :
    고도로 정제된 기유를 사용하므로 열안정성 및 산화안정성이 매우 우수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열화에 의한 점도변화가 적습니다.

    부식 및 녹방지성이 우수하여 스핀들의 녹 및 부식을 방지하여 줍니다.

    청정분산성이 우수하여 스핀들 각부분을 깨끗이 세척하여 줍니다.

    강인한 유막을 형성하여 금속의 마모를 최대한 줄여 줍니다.

    장기간 사용가능합니다.

    장 점 :

    점도가 매우 낮아 방직공장전체의 전력소비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방직공장 전체의 전력 소비량은 윤활유의 점도에 따라서 많은 영향을 받으며 쉘 스핀들 오일 60은 전력소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점도가 낮습니다
    대표성상


                   동정도 cSt
                  @40℃  @100℃
    Shell Spindle Oil 60     10    2.61

    포장용기 20L, 200 L

    출처 : http://shell.x-y.net/spindle.html
    =========================================================================

    20리터도 판다는데 가격이 얼마나 할지 -_-;;

    1리터만 있어도 베어링 샤워 시켜주면서 평생사용할수 있을거 같은데...

    부산에 있는 업체네요. 서울에 파는 업체 검색해보니 찾기가 힘드네요.

    찾아가서 부탁하면 조금만 살수 있음 좋을듯한데... 또는 힘든 일이겠지만

    200리터를 사서 1리터씩 공동구매를 하면 어떨까 하는생각이...

    가격이 비쌀까요? ^ㅡ^a;;;;
  • ?
    최정훈 2005.08.26 09:18
    Shell의 제품 중에 Tellus Oil 22 라는 것도 괜찮을 듯 싶네요. 내마모성 유압작동유로 분류되어 있고 용도가 각종 유압작동장치, 유압제어장치 및 베어링 이라고 합니다.
    동점도는 40도에서 22cSt, 100도에서 4.39cSt 로 나와 있구요. 역시 최소 판매단위는 20L인데, 가격을 찾아보니 한 사이트( http://k-tools.co.kr/shop/shopdetail.html?brandcode=031012000033&search=&sort=price )에서 43,000원에 판매 중입니다. 100 mL 정도로 나누면 200 병, 병 당 215원이군요.(오일 값보다 병 값이 더 나올 듯. ^^;)
    이거 성능만 어느 정도 검증된다면 규모가 꽤 큰 동호회 같은 곳에서는 사서 쓸만 하다 싶구요, 인라인샵 같은 곳에서 100 mL 정도의 분량으로 나눠서 팔아도 괜찮지 않나 싶습니다.
  • ?
    박순백 2005.08.26 10:31
    박순백 (2005-08-26 10:29:55 IP:211.45.66.133 )

    아래는 세양교역(사포로정밀이 제작한 인라인 전용 에조 베어링 판매)의 김승동(sum8374@hanmail.net) 상무님이 알려 주신 내용입니다. 정밀 베어링에서는 에어 건의 사용에 조심해야한다는 내용입니다. 아래 내용으로 보아 저는 에어 건을 아주 조심해서 쓰거나 안 쓰는 것이 낫지 않겠나하는 생각입니다.

    "전화주셨던 두 가지 사항을 조사하고 있는 중입니다.

    일단 엔진오일의 경우 ZIC가 예로 들어졌기 때문에, 마침 제가 ZIC를 개발한 오일 전문가를 잘 알고 있어서 문의 중인데, 이분이 지방에 출장 중이시라 서울 오시길 기다리고 있습니다. 서울 오시면 제가 만나 뵙고, 댓글에 이야기된 부분들의 이야기들을 검토를 부탁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에어건의 경우 베어링 메이커에서는 그리스가 과다주입되거나 그리스량이 맞지 않을 경우 그리스를 빼낼 때 주로 사용을 합니다. 이때 내륜과 외륜을 동시에 잡고(회전하지 않도록) 에어건으로 뿜어냅니다. 즉 베어링이 회전하지 않도록 잡은 후 이물질(혹은 그리스)만 빼내는 개념입니다.

    하지만 정밀 베어링에서는 베어링의 내외륜과 볼 사이에 유격이 워낙 작으므로 강한 압력으로 에어를 분사하면, 베어링이 볼의 진행 방향이 아닌 옆을 중심으로 입체적으로 진동하면서, 베어링 용어로 압흔(壓痕), 즉 압력에 의한 상채기(흔적)가 생길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이것은 정밀 베어링에서는 당장 소음이 커집니다.

    이 문제를 제가 베어링 메이커에 문의해 본 적이 있었는데, 베어링 엔지니어들은 한결 같이 세척을 한 후 그리스나 오일이 주입되어있지 않은 상태에서 에어 건으로 불어 회전시키는 것은 베어링의 구름면에 손상을 가게 하는 지름길이라고 합니다. 특히 세척 후 오일 주유전 세척액을 말리기 위해 에어 건으로 공회전 시키는 것은 절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엔진오일에 관하여는 답을 얻는 대로 연락드리겠습니다."

  • ?
    한정희 2007.06.26 14:19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좋아요
2060 안내/소개 2005 전주 국제인라인마라톤대회 KRSF 포인트 부여 - 아마 국가대표 선발 랭킹 포인트 정혜경 2005.08.17 3674 508
2059 기사/방송 인라인 '태극전사' 세계선수권 장도 올라 3 김구철 2005.08.17 4566 695
2058 기사/방송 '인라인 중국 대장정' (KBS2 세상의 아침/8.15~18) 12 박송원 2005.08.18 4630 473
2057 정보 [황보현] 대퇴골 골절 시의 응급처치 - 사망사고에 이를 수도 있으므로 평소에 숙지요. 6 박순백 2005.08.18 6724 592
2056 안내/소개 제 20회 Saturday Riverside Skating 정기로드_Version de 웃짱까~~~ 1 염호섭 2005.08.18 4589 677
2055 안내/소개 [사진] 수저우 대회에 참가하는 인라인 국가대표 출정식 5 조광근 2005.08.18 5070 587
2054 정보 [새로운 기술] 스포츠 글라스에 적용된 새기술 5 양회창 2005.08.18 8773 534
2053 안내/소개 [로드] 미사리 까페촌(인라인/자전거 도로) 12 file 진영민 2005.08.18 6223 547
2052 정보 베어링이란? 21 김성우 2005.08.19 6407 380
2051 정보 베어링 청소/정비시 신너를 왜 쓸 수 없나? 20 윤준선 2005.08.20 8306 438
2050 정보 베어링, 표면침투(?) 6 최희식 2005.08.21 4558 673
2049 정보 [re] 베어링이란? - 진짜 좋은 베어링은 비싸진다. 그리고... 19 박순백 2005.08.21 9121 418
2048 안내/소개 '질주본능' 예고편 (KIC제작 인라인 강습 동영상) 16 배영돈 2005.08.22 7283 548
2047 안내/소개 국내 인라인패트롤단체 InlinePatrol.Com 2차 도메인 연동 2 최재식 2005.08.22 4126 698
2046 Etc. 인라인용 응급처치 킷(kit)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의견을 받습니다. 16 황보현 2005.08.22 6012 643
2045 정보 인라인 스케이트 브레이크에 관한 아이디어와 고안품 29 file 방희남 2005.08.23 6883 395
2044 Etc. "인라인 보험" 공동구매 13 조용은 2005.08.23 5413 717
2043 정보 베어링 정비 시의 에어 건(air gun) 사용 - 절대 안 된다고...-_- 13 박순백 2005.08.23 5368 394
» 정보 과연 자동차 엔진오일은 인라인 베어링용으로 적합한가? 22 최정훈 2005.08.24 7380 437
2041 칼럼 어린이 강습 무리한 동작보다 재미와 안전이 우선 김구철 2005.08.24 3262 5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8 Next
/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