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120 좋아요 590 댓글 11


* 이 게시물은 홈페이지 관리자에 의하여 " Prof. Koh"란으로부터 이동되었습니다.(2012-05-09 14:04)



안녕하세요? 참 오랜만에 글을 쓰는군요.^^

글 못쓴 핑계야 많습니다만, 정신적 공황상태와 게으름의 합작품이라는 이유가 가장 적당할 것 같습니다.


요즘 SK그룹에서 Skopi라는 이름으로 인화 서비스를 해 오면서 최근에 청담동 로데오 거리, 구찌(Gucci) 매장 옆에 사진 전문가를 위한 대여스튜디오 Skopi plaza를 설립했습니다.

광고사진가나 패션사진가에게 대여하는 것이 주목적이기는 하지만, 그곳의 직원들이 인상사진이나 가족사진 등의 촬영도 합니다. 최근에 제가 이곳 스튜디오에서 직원분들의 촬영교육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이곳에 계신 직원분들도 사진을 전공한 전문가들입니다만, 고객들께 최고수준의 사진촬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교육을 받고 있는 것입니다.

오늘 첫 교육이 있었는데 교육 도중에 촬영한 사진이 마침 조명을 설명하는 부분이 있어 사진과 설명을 올려드리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사진 모델은 현재 스코피플라자에 근무하는 여직원이고, 키가 170cm 정도 돼 보이는 glamourous 한 미인인데 이 사진 촬영을 위해 수고해 주셨습니다^^

촬영은 캐논 20D에 100mm Micro 렌즈로 했으며 촬영 결과값을 충실하게 보여드리기 위해 포토샵에서 샤픈 1회 처리 외에는 콘트라스트나 레벨을 전혀 손대지 않았습니다.




이런 사진을 찍으려면 각 부분마다 조명을 비춰야 합니다.  이 사진은 얼굴의 그림자를 결정하는 주광(main light)과 머리카락을 비추는 조명(hair light), 얼굴의 그림자부분 농도를 밝게 해주는 보조광(fill light), 배경을 밝게 해주는 조명(back light)을 비추고 있습니다. 조명을 한가지씩 분리해 보겠습니다.



먼저 스튜디오의 불을 모두 끄고 모델에게 그림자의 방향을 결정하는 주광(main light)을 비춥니다. 그러나 이 조명 하나만으로는 많은 부분이 불만족스럽습니다. 우선은 얼굴의 콘트라스트가 너무 강해서 그림자 부분의 디테일이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배경도 새까맣고 피부도 거칠어 보입니다. 특히 머리카락 부분과 배경부분은 같은 검정이라서 머리카락이 배경에 묻혀버렸습니다.



그래서 머리카락 부분에만 조명을 비춰주었습니다. 이렇게 머리카락에 비추는 조명을 hair light이라고 합니다. Hair light을 비추자 머리카락의 디테일이 나타나고 있으며 배경과도 분리되었습니다.



그런데 가만히 살펴보니 배경이 또 너무 어둡습니다. 그래서 배경 일부에 조명을 해 주었습니다. 물론 배경 전체를 밝게 할 수도 있습니다만, 그것보다는 이런 조명이 더 분위기가 있고 지루하지 않아서 배경의 일부만 밝게 한 것입니다.



그리고 나서 이 모든 조명을 동시에 모델에게 비추면서 촬영했습니다. 결과가 이렇게 나왔습니다만, 이 사진도 얼굴의 그림자 부분이 너무 어둡고 피부도 여전히 거칠어 보여서 만족스럽지 않습니다.



그래서 여기에 보조광 하나를 더 추가하여 얼굴의 그림자 부분을 밝게 해 주었습니다. 이런 조명을 fill light이라고 하며 fill light은 모델의 그림자 부분 밝기, 즉 조명비(lighting ratio)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주광은 f=22 1/2, 보조광은 f=16이며 조명비로 환산하면 1:3입니다. 보조광이 모델의 얼굴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평평하게(even overall flat) 밝혀주고 있으며 뒷부분의 배경까지 동시에 밝혀주고 있습니다.




그렇게 한 다음 찍은 것이 바로 이 사진입니다. 얼굴 피부가 훨씬 부드러워 보이며 입체감이 살아 있고 배경과 머리카락도 잘 분리되고 있지만, 보기에 따라 여전히 피부가 거칠어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보조광(fill light)의 밝기를 더 강하게 하여 주광과의 차이를 없애버렸습니다. 이 사진은 조명비 1:1입니다. 이렇게 하면 얼굴의 입체감은 감소합니다만, 아주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주광이 만든 그림자가 코를 중심으로 아주 약간 남아서 얼굴의 입체감을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단순하게 조명 하나를 정면에서 비추는 것과 다른 입체감을 표현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입체감이 약간 남아 있으면서 피부는 훨씬 부드러워 보입니다.


이렇게 해서 얼굴을 촬영하는데 필요한 조명광원은 main light, hair light, fill light, back light 등 4개가 필요한 것입니다. 이것이 스튜디오에서 인물사진을 촬영하는 기본 조명의 원리입니다만, 이 원리는 야외에서도 별다른 광원이나 기술 없이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 부분은 나중에 다시 강좌를 통해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Comment '11'
  • ?
    김기한 2005.03.16 06:57
    오랫만에 올라온 강좌 너무 잘 봤습니다. 그런데 여기저기 사이트를 둘러보다가 '라이트 박스 자작하기' 라는 글에 종이 상자와 소위 삼파장 전구, 필름으로 만든 조명이 있던데 이 것으로 전문적인 조명을 흉내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ps.모델이 긴장한 것 같습니다.^^
  • ?
    신명근 2005.03.16 09:33
    잘보았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강좌 부탁드립니다.
    사진입문 초보인 저로써는 조명까지 머리속에 입력하기에는 용량 부족이지만 앞으로를 위하여 열심히 보겠습니다.^^
  • ?
    임형택 2005.03.16 09:38
    고형모 교수님의 글을 오랫동안 기다렸습니다. ^^
  • ?
    김세호 2005.03.16 11:38
    그러게요.. 무지 오래 기다렸네요.
    지난 번에 방황접는다고 하셔서 곧 글이 올라올 거라 기대했었는데...
    좋은 글 감사하구요, 염치없지만 앞으로도 좋은 글들 부탁드립니다. ^^
  • ?
    김효중 2005.03.16 12:27
    옛 생각에 머리가 아파 옵니다.ㅎㅎㅎ
  • ?
    최재두 2005.03.16 20:54
    회원가입이 좀 늦었습니다..앞으로도 좋은글 좋은 강좌 부탁드립니다.^^
  • ?
    나원규 2005.03.16 21:05
    다시 만나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교수님,
  • ?
    김형준 2005.03.17 19:42
    빛을 다룰 줄 알아야한다고 저를 가르친 사진기자님의 말이 생각나네요. 역시 조명이 중요하네요. 좋은 강좌 감사합니다!
  • ?
    박순백 2005.03.19 19:15
    역시 사진은 빛의 마술.
  • ?
    최성군 2005.03.22 16:44
    주광과 보조광의 차이는 검은 눈동자에 비친 광점(이말이 맞는지 모르겠네요.)으로 잘 알수가 있군요. 그런데..마지막 사진(1:1) 사진에서 보니 보조광의 각도가 약간 달라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약간 오른쪽 아래로 처짐) 물론 모델의 얼굴각이 약간 달라서 그럴 수도 있는데.. 주광원으로 생긴 광점은 그대로라서..
  • ?
    고형모 2005.03.23 00:21
    [최성군 선생님] 우와! 날카로운 관찰력이십니다.^^ 정확한 지적이십니다.

    보통 주광(main light)은 피사체(subject)에 그림자를 만드는 광원을 말하며 보조광(fill light)은 피사체의 그늘진 부분(shadow)을 밝게 해주며 그림자를 만들지 않는 광원입니다.

    따라서 주광은 그림자를 만들기 위한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지만, 보조광은 카메라에 최대한 가까이 붙어서 모델의 정면을 비춰주어야 그림자가 생기지 않습니다.
    또한 보조광은 광원의 면적이 넓은 투과광이나 반사광을 이용하여 그림자의 경계선이 뚜렸해지는 것을 최대한 막아서 혹시 보조광에 의한 그림자가 생겨도 눈에 띄지 않도록 합니다.

    촬영을 하다보면 보조광의 위치는 거의 카메라 옆에 붙게 되는데 조명비를 1:1로 조절하려면 보조광도 주광의 거리만큼 가까이 접근하게 되며 이때 보조광의 위치가 약간 변화할 수도 있습니다.

    지적하신 조명비 1:1의 사진에서 보조광의 위치가 아래로 내려간 것은 조명비를 조절하기 위해 보조광의 위치를 옮겨주면서 약간 아래로 내려간것 같습니다만, 보조광이 별다른 그림자를 만들지 않았으므로 크게 관계 없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좋아요
1775 정보 인물사진의 6가지 기본조명(basic 6 light of portrait photography) 10 고형모 2005.03.25 28151 876
1774 정보 로지텍 사의 (게이머를 위한) G9, G5 레이저 마우스 5 박순백 2008.04.17 23002 957
1773 정보 토프레 리얼포스(Realforce) 101 - 무접점의 고급 키보드 3 박순백 2008.06.25 22920 753
1772 뽐뿌 휴대폰 화면을 대형 TV 화면으로 미러링하는 작은 개짓(동글) 37 file 박순백 2017.02.07 18925 4
1771 정보 캐논 20D 펌웨어 변경 - EOS 20D Firmware Update Version 1.0.5 10 박순백 2004.10.08 18826 447
1770 정보 숲속의 휴식 - 축령산 자연휴양림 맹준성 2006.05.20 16966 510
1769 정보 마킨스(Markins) 볼 헤드 - 1편 12 고형모 2004.08.08 15922 648
1768 정보 마킨스(Markins) 볼 헤드와 마병익 사장님 - 2편 25 고형모 2004.08.09 15888 591
1767 정보 플래시와 셔터속도로 배경의 밝기를 조절하기 12 고형모 2004.07.31 14540 674
1766 정보 iMovie로 동영상 편집 하기. 5 file 신명근 2013.11.11 14447 0
1765 정보 iOS7 업그레이드 후의 아이폰 문자 초성만 나오는 문제 6 file 박순백 2013.09.20 13446 0
1764 정보 레이블 보호기 - LP 레코드판을 물속에 넣고 초음파 세척기로 닦기 2 박순백 2008.04.15 13158 967
1763 정보 짓죠 카본삼각대의 마킨스 티타늄 스파이크 튜닝 9 고형모 2005.04.02 12561 899
1762 정보 사진학강의 7판 번역판 21 고형모 2004.08.21 12362 402
1761 정보 역광촬영에서 배경밝기 조절과 플래시로 극적인 조명 만들기 4 고형모 2005.04.13 12217 646
1760 카메라 소니 알파7S(A7S) - 도저히 믿을 수가 없는 저조도 촬영 동영상 16 file 박순백 2015.03.30 11698 0
» 정보 스튜디오에서 인물사진 촬영하기 - 기초편 11 고형모 2005.03.16 11120 590
1758 뽐뿌 소니, 그럴 줄 알았다.-_- 30배 광학 줌 디카(24~720mm 줌) 2 file 박순백 2015.06.11 11058 1
1757 정보 Dusk dark을 이용한 환상적인 저녁노을 만들기 8 고형모 2005.04.11 11055 944
1756 정보 iOS5에서 동기화 세션 시작에 실패하여 동기화하지 못 한다는 에러 / 동기화, 전화번호 선택 삭제 9 file 박순백 2011.10.18 10789 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89 Next
/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