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540 좋아요 674 댓글 12


* 이 게시물은 홈페이지 관리자에 의하여 " Prof. Koh"란으로부터 이동되었습니다.(2012-05-09 14:02)



흔히 적정노출을 기준으로 노출 부족을 만들 때는 셔터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조리개를 죄거나 광량 감소용 ND 필터를 사용합니다. 노출을 과다하게 만들 경우에는 적정 노출 기준으로 셔터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조리개를 열거나 플래시를 사용하기도 하지요.

쨍하고 해뜬 한낮에 사람을 촬영할 때 하늘이나 그 밖의 밝은 배경을 어둡게 만들려면 어떻게 할까요?

우선 모델과 배경이 어느 정도 멀리 떨어지도록 배치한 다음, 사람이고 배경이고 할 것 없이 몽땅 노출 부족을 만들고, 사람에게만 플래시를 사용하여, 사람에게만 적정 노출로 조명을 합니다. 그러면 멀리 있는 배경에는 플래시 빛이 닿지 못하므로 어두워지며 사람만 적정 노출이 되는 것입니다. 이해가 잘 안 되시지요? 사진을 보면서 설명을 드리도록 하지요.^^




위의 사진은 렌즈의 조리개 값은 F/22, 셔터속도는 1/250sec로 촬영한 것입니다. 시간은 오후 4시경이며 직사광선 상태는 아니었지만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평평한(even over all flat) 날씨였습니다.
이런 날은 ISO100 기준 대략적인 야외의 노출값이 F/8, 셔터속도는 1/125sec 정도가 적정인데 셔터에서 1 stop, 조리개에서 3 stop 부족하게 조절했으니 도합 4 stop이나 노출 부족상태가 됩니다. 따라서 사람과 배경이 심하게 어두워진 것이지요.
이 상태에서 모델에게 플래시를 비춰줍니다. 이때 플래시의 노출 값은 F/22가 되도록 합니다.
이렇게 하면 사람은 적정 노출이 되어 알맞은 밝기가 되고 배경은 어두운 상태 그대로가 됩니다.




처음의 사진을 기준으로 셔터속도만 1/125sec로 한 단계 느리게 했습니다.
물론 모델에게는 플래시 설정 노출값인 F/22를 적용했습니다. 이렇게 하면 모델의 밝기는 그대로인데 배경의 밝기는 1/250sec에 비해서 1 stop 밝아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사진도 촬영조건은 앞의 사진과 같습니다만, 셔터속도를 1/60sec로 한 단계 더 느리게 한 것입니다.
모델에게는 F/22가 되도록 플래시 조명을 비춰 주었습니다. 앞의 사진과 비교해 볼 때 배경의 밝기가 또 1 stop 밝아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촬영조건은 이전의 사진과 같습니다만, 셔터속도를 1/30sec로 한 단계 더 느리게 한 것입니다.
모델에게는 F/22가 되도록 플래시 조명을 했으며 배경의 밝기만 앞의 사진에 비해 1 stop 밝아졌습니다.




촬영조건은 이전의 사진과 같고 셔터속도를 1/15sec로 바꿨습니다.
모델에게는 F/22가 되도록 플래시 조명을 했으며 배경의 밝기만 앞의 사진에 비해 1 stop 밝아졌습니다.




촬영조건은 이전의 사진과 같고 셔터속도만 1/8sec로 바뀌었습니다.
모델에게는 F/22가 되도록 플래시 조명을 했으며 배경의 밝기만  위의 사진에 비해 1 stop 밝아졌습니다.

자! 지금까지 여러 장의 사진을 보셨습니다. 모델의 밝기는 그대로 변화가 없습니다. 이것은 플래시로 조절하는 것이고 플래시 노출은 조리개로 조절합니다.
조리개를 그대로 둔 채 셔터속도만 변화를 주면 배경이 밝아지기도 하고 어두워지기도 합니다.
최고 동조 셔터속도가 빠를 경우 유리한 점은 배경을 그만큼 더 어둡게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캐논 1D의 최고 동조 셔터속도가 1/500sec까지이므로 조절 영역이 가장 광범위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1D Mark Ⅱ보다 배경을 1stop 더 어둡게 할 수 있으므로 모델에 비해 배경이 5 stop이나 어둡게 되어 거의 새까만 배경을 만들 수 있는 것입니다.

한번씩 해 보시고 궁금하신 것은 질문하세요.^^
Comment '12'
  • ?
    김세호 2004.08.01 00:02
    사진을 찍다보면 생각했던 것과 결과물이 너무 달라서 당황할 때가 종종 있는데, 교수님의 강의내용 하나하나 기억하면서 실습하다보면 저도 언젠간 나름대로 고수되는 날이 오겠죠? ^^
    계속해서 알찬 정보 부탁드립니다. 더위에 건강 잃지 마시구요...
  • ?
    고형모 2004.08.01 01:23
    [김세호 선생님] 그럼요.^^ 고수가 뭐 별겁니까? 좀 더 많이 찍어보고 좀 더 많이 실패하면서 대상을 표현하기 위한 기술을 익히고 대상에 대한 이해를 거듭하다보면 남들보다 좀 더 실수를 줄이게 되고 그런 실수가 아주 적으면 고수가 되는 것이지요.^^

    사진이 원하는 대로 나오지 않고 눈으로 본 사실이 촬영한 결과와 많이 다르다고 해서 기죽을 필요 없습니다. 차근차근 따라오시다 보면 고수로 거듭 나시게 될 것입니다.^^ 그 대신 여기에서 말씀드리는 [강좌]는 모두 찍어보시고 그 결과물을 이곳 게시판에 올려주시면 그걸 critique 해드릴 테니 실수한 부분이 있으면 다시 찍어보시는 과정을 반복하시면 됩니다.^^
  • ?
    김세호 2004.08.01 09:26
    넵. 안 그래도 외장형 플래시에 군침을 흘리고 있던 중인데 교수님 강좌를 따라하기 위해서라도 얼른 장만해야겠네요. 에휴~ 그 놈의 총알이 뭔지 ^^
    근데 한가지 질문드릴 게 있는데... 플래시를 "스트로보'라고들 많이 하는데, "스트로보"도 "스카치테이프"나 "롤러블레이드"처럼 특정 브랜드의 제품명인데 일반명사처럼 쓰는 건가요? 예전에 한 번 들었던 것 같기도 하구요.
    교수님께서 "플래시"란 단어를 쓰시길래 궁금해서 질문 드려봅니다.
  • ?
    고형모 2004.08.01 14:25
    [김세호 선생님] 사진에서 사용하는 전기 플래시(electronic flash)는 전기를 이용한 섬광(지속시간이 짧은 강한 빛)원으로 광원은 크세논 플래시 램프입니다. 크세논(xenon) 플래시 램프는 직관형(直管形)·나사형·U자형·고리형 등의 석영관이나 유리관의 양끝에 전극을 설치하고, 수십이나 수백 토르(1torr는 133Pa의 압력)의 크세논가스가 봉입되어 있습니다. 콘덴서에 축적된 에너지를 전극간에 펄스 전압을 인가해 순간적으로 방전할 수 있고, 사진촬영·항공기유도등(燈)·레이저들뜸광원 등에 쓰입니다.

    스트로브(strobe)는 전기(전자) 플래시(electronic flash)나 스트로보 라이트(strobe light) 또는 스피드 라이트(speed light)라고 불리는데 스트로보라는 명칭은 스트로보 리서치 회사의 제품명에서 유래된 것이므로 전기 플래시라 부르는 것이 올바른 것입니다.
    크세논방전관에 의한 전자섬광을 이용한 사진용 인공광원으로 1939년 미국 MIT 공대 교수 H. E. 에저튼 박사가 발명하였으며 태양광과 같은 광질을 가지고 있으며 색온도가 5500k에 맞춰져 있어 주광용 컬러 필름을 색보정 필터 없이 사용하게 만든 사진용 인공 조명입니다.
  • ?
    임형택 2004.08.01 19:30
    고형모 교수님, 항상 좋은 강좌 감사드립니다 ^^
    그런데, 제가 잘 모르는게 있어서 한 가지 여쭙고자 합니다.
    "모델에게는 F/22가 되도록 플래시 조명을 조정", "플래시로 조절하는 것이고 플래시 노출은 조리개로 조절" 이 글귀입니다.

    F/22일 때 플래시의 광량이 모델에게만 적당하도록 플래시의 광량을 매뉴얼로 조절해서 맞춰야 한다는 말씀이 맞는지요?
    위 모든 사진에서 플래시의 절대적인 광량은 항상 일정한 것이죠?
    그런데, 마지막에 "플래시 노출은 조리개로 조절한다"는 말씀이 잘 이해가 안가는데요. ^^
    플래시 노출은 플래시 자체에서 조절할 수 도 있는데, 이것과는 좀 다른 것인지요?
    그리고, 플래시의 광량을 고정시키고 조리개를 조절하여 결과적인 노출을 조절하는 것과
    조리개를 고정시키고, 플래시의 광량을 변화시켜 결과적으로 적절한 노출을 조절하는 것이 좀 다른 것인지요?

    전 지금까지 주변에 비해서 피사체의 밝기가 어두울 경우 플래시를 사용해왔습니다.
    낮에도 오히려 햇빛이 강하면 사람의 눈밑이나 코 밑 등에 그림자가 강하게 생기는데, 이 그림자를 없애주거나
    그야 말로 역광일 때 사람의 얼굴이 잘 보이게 하는 용도 였습니다.

    그런데, 고형모 교수님께서는 제가 플래시를 그동안 사용하던 것과 정반대의 사용방법을 말씀해주신 것 같습니다.
    아~ 플래시를 이렇게 사용할 수도 있군요. ^^

    SLR을 사용하면서, 저에게 무척 어려운 점 중에 하나가 플래시의 사용입니다. 요즘 기술이 발전해서 ETTL이니 뭐니 하지만, 많은 경우 플래시를 사용해서 만족할만한 결과가 잘 안나옵니다. 천정 바운스 등을 하고 FEL(플래시 노출 고정) 버튼을 누른 후에 찍어보곤 해도 사람의 얼굴이 번들거리거나 자연스러움이 없어져버립니다.

    전 시그마 500DG Super라는 플래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 ?
    고형모 2004.08.01 20:14
    [임형택 선생님] 예! 그렇습니다. 플래시의 광량을 매뉴얼로 설정해서 최대 값에 맞추어 광량이 항상 일정하게 해야 합니다.
    플래시의 가이드 넘버(GN), 즉 용량이 큰 것을 사용하면 충분히 F/22가 나옵니다. 플래시의 광량을 고정시키고 조리개로 노출을 조절하는 이유는 노출의 기준이 모델이기 때문입니다.

    즉, 모델의 밝기는 일정하고 배경의 밝기만 변해야 하기 때문에, 조리개 값과 플래시의 밝기는 수동으로 설정하여 고정해 두는 것입니다. 플래시의 광량을 변화시키면 모델의 노출 값도 변화합니다.
    '플래시 노출은 조리개로 조절' 한다는 의미는 플래시를 수동으로 하여 최대 광량이 나오도록 한 다음 그 노출 값에 맞는 조리개 값을 설정한다는 의미입니다.

    참고로 플래시의 광량을 변화시켜 노출을 조절하면 그 플래시 값에 맞추어 모델의 밝기, 즉 노출 값이 변화하게 됩니다. 그에 따라 조리개를 조절해서 모델의 밝기를 적정노출 값으로 맞추면 이번에는 배경의 노출 값이 셔터에 의한 노출변화와 더불어 배경 노출 값의 변화로 인해 2stop 씩 변화합니다.^^
  • ?
    박건우 2004.08.02 09:20
    동조속도 높은 바디도 있고 대광량 플레쉬도 있고 시간도 남아 도는데, 모델이 없어 해 볼수가 없습니다. T_T;
  • ?
    강준규 2004.08.02 20:53
    [고형모 교수님] 좋은 강의 감사히 읽고 있습니다.
    저도 위의 임형택님의 질문과 같은 의문을 갖고 있었습니다. 고형모 교수님의 답을 읽고 생각을 정리한 것이 아래와 같은데, 맞는지 확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첫번째 사진: F/22 1/250 플래쉬-최대 광량
    두번째 사진: F/22 1/125 플래쉬- 1/2 광량 (최대값의)
    세번째 사진: F/22 1/60 플래쉬- 1/4 광량 (최대값의)
    (제가 갖고 있던 미놀타 호환의 수동 플래쉬는 위와 같은 3가지로 밖에는 조절이 되지 않더군요. 가이드 넘버는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벌써 15년이나 되어 버려서...)
    이하 동일한 방식...

    좋은 하루 되십시오.
  • ?
    고형모 2004.08.03 01:13
    [강준규 선생님] 아! 좀 오해가 있으셨던 것 같습니다.

    첫 번째 사진: F/22, 1/250sec, 플래시- F/22의 노출 값이 나오는 광량(manual 설정, 플래시노출 값 변화 없음)

    두 번째 사진: F/22, 1/125sec, 플래시- F/22의 노출 값이 나오는 광량(manual 설정, 플래시노출 값 변화 없음)

    세 번째 사진: F/22, 1/60sec, 플래시- F/22의 노출 값이 나오는 광량(manual 설정, 플래시노출 값 변화 없음)

    네 번째 사진: F/22, 1/30sec, 플래시- F/22의 노출 값이 나오는 광량(manual 설정, 플래시노출 값 변화 없음)

    플래시의 광량을 매뉴얼로 설정해서 최대 값에 맞추어 광량이 항상 일정하게 해야 합니다.
    즉, 모델의 밝기는 일정하고 배경의 밝기만 변해야 하기 때문에, 조리개 값과 플래시의 밝기는 수동으로 설정하여 고정해 두는 것입니다. 플래시의 광량을 변화시키면 모델의 노출 값도 변화합니다. 그러면 그에 따라 촬영시의 조리개를 바꾸어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배경 콘트롤이 꽤 복잡한 계산을 필요로 합니다.
  • ?
    강준규 2004.08.03 20:19
    [고형모 교수님] 자세한 지적에 감사드립니다. 이제야 이해한 듯 싶습니다.

    플래쉬의 발광 지속 시간(정확한 용어가 무엇인지요?)이 1/250초보다 짧기 때문에, 셔터 스피드의 변화와 상관없이 플래쉬의 광량이 일정해도 인물에게는 동일한 노출이 된다는 뜻이군요.

    셔터 스피드가 늦춰지므로써, 자연광에 의해 인물이 조금 더 밝게 나올 수는 있으나, 플래쉬의 광량에 비해 그 차이가 작으므로 무시할 수 있다는 뜻으로 이해하면 되겠습니까?
  • ?
    고형모 2004.08.07 20:42
    이런! 제가 이 질문을 이제야 봤네요. ㅜ.ㅜ; 답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질문 : 플래시의 발광 지속 시간(정확한 용어가 무엇인지요?)이 1/250초보다 짧기 때문에, 셔터 스피드의 변화와 상관없이 플래시의 광량이 일정해도 인물에게는 동일한 노출이 된다는 뜻이군요.

    답변 : 예! ^^

    발광지속시간의 정확한 용어는 '발광지속시간'입니다.^^ 영어로는 duration time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플래시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내부의 콘덴서를 작게 합니다. 콘덴서가 작으면 발광시 최대밝기가 떨어집니다. 이때 발광되는 시간을 늘리면 GN, 즉 플래시의 용량이 상승합니다. 예를 들어 최대 밝기가 10 lux인 플래시의 발광지속시간이 0.1초일 경우 이 시간을 늘려서 0.2초 동안 발광이 지속되게 하면 플래시의 용량은 20 lux가 되는 것입니다.

    질문 : 셔터 스피드가 늦춰짐으로써, 자연광에 의해 인물이 조금 더 밝게 나올 수는 있으나, 플래시의 광량에 비해 그 차이가 작으므로 무시할 수 있다는 뜻으로 이해하면 되겠습니까?

    답변 : 예! 정확하게 이해 하셨군요. ^^
  • ?
    강준규 2004.08.11 18:03
    지난 글까지 세심하게 살펴 답 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좋아요
1715 정보 maface.com 1 박순백 2004.07.21 2832 476
1714 정보 스트로보 구입 관련 질문 드립니다. 10 최영경 2004.07.21 2950 436
1713 정보 여러분 저좀 말려주세요... 12 김희태 2004.07.22 3278 456
1712 정보 잘 찍은 사진 한 장 5 박순백 2004.07.22 4056 506
1711 정보 몽블랑 잉크가 물에 퍼지는 과정을 사진으로 담은 변춘섭 씨의 몽블랑 캠페인 포스터 1 file 주진병 2004.07.23 5823 495
1710 정보 렌즈마저 추천 바랍니다. 10 file 박동우 2004.07.23 2720 415
1709 정보 300D의 가격이 속락하고 있습니다. 5 file 김희태 2004.07.23 3462 442
1708 정보 300D 블랙 바디가 미국에도 나올까요? 2 김용빈 2004.07.25 3116 531
1707 정보 렌즈의 선예도 비교 4 file 박동우 2004.07.26 6198 544
1706 정보 계조(Gradation)와 선예도(sharpness) 4 고형모 2004.07.26 8216 893
1705 정보 교수님의 칼럼에 감사말씀.. 1 김은 2004.07.29 2380 423
1704 정보 일단은 박순백 박사님에게 위로를 표합니다. 16 file 권영우 2004.07.29 3276 308
1703 정보 월간 Carlife 20주년 기념 사진 전시회 - 8/2-7 2 박순백 2004.07.29 2449 433
1702 정보 내셔널 지오그래픽 사진 전시회 - "위대한 사진..." - 7/24-9/25 박순백 2004.07.29 2430 411
1701 정보 안부인사 드립니다. 13 최규헌 2004.07.29 2716 363
1700 정보 캐논 DSLR의 파일 사이즈 - 픽셀 수와 비례 5 박순백 2004.07.30 4105 494
» 정보 플래시와 셔터속도로 배경의 밝기를 조절하기 12 고형모 2004.07.31 14540 674
1698 정보 웹용사진의 액자 4 송승철 2004.08.02 3514 592
1697 정보 최인진 저, 한국사진사 1631-1945 6 file 고형모 2004.08.02 4378 604
1696 정보 광각렌즈의 묘미에 대하여... 4 고형모 2004.08.03 3818 5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89 Next
/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