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 시즌에 스키를 배운 Jenny Sim을 생각나게 하는 "윤예선"이란 보더가 있군요.^^

아래 동영상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이 아가씨는 초중급자들이 주로 타는 프리스타일 보드가 아니라 대개는 고수들만 타는 알파인 보드 비슷한 걸("해머헤드 프리 보드"란 것임.) 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도대체 균형감각이 얼마나 좋은 아가씨이기에... 그리고 누가 가르쳤기에 한 시즌만에 저렇게 타는 거죠?

운동을 잘 하려면 대개는 열심히 노력을 해야한다고 하지만, 가끔은 '이건 타고나는 거로구나!!!'하는 생각을 하게 하는 분들이 있음을 알게 됩니다.

최선의 노력은 기본이니 더 얘기할 바가 없고, 일단 태어날 때부터 타고 난 재질이 있어야 이런 정도의 탁월함을 보여줄 수 있는 듯합니다.

 


c1.png

(※첨부 영상은 지난시즌 스노우보드를 접한지 1년차였던 왕초보
윤예선 (성별 女) 영상 이며 , FUNxR에서 열심히 훈련 받았습니다.)
.
모집 정원 : 선착순 7명 - 초급, 중급, 고급, 평일, 주말, 야간, 모두 가능
(작년 조기마감에 감사드리며, 저희도 연습시간 및 원정 등의
즐길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강습생을 많이 받지 않습니다.)
.
강사 라인업 - 최민석 (몽키D루피), 안병호(검은보더) 김혜진 (NewFace), 김준영(쿠쿠다스)
(※이번 시즌부터는 해외 일정 및 스케줄 관계로 심훈 영상 피드백은
진행하지 않습니다.)
.
베이스 - 베이스는 휘팍 입니다. 타지역은 특별한 경우나 캠프,
그룹강습 신청을 제외하고는 힘듭니다.
(※단, 몽키D루피님 강습은 대명에서 진행 가능합니다.)
.
*** 강습 비용
.
1. 5회 강습권 - 1:1 120만원, 2:1 140만원 3:1 160만원
(시즌 초반, 중반, 후반에 체계화 된 영상 분석 및 피드백 포함)
.
2. 10회 강습권 -1:1 220만원, 2:1 260만원 3:1 300만원
(시즌 초반, 중반, 후반에 체계화 된 영상 분석 및 피드백 포함)
(1회 2시간 이상 기준으로 진행이 되며 그날 목표 기술을 전수
될때까지 몇시간이던 그이상의 추가 시간보장 해드립니다.)
.
3.번외 단일 1회 30만원 2회 강습권 50만원
.
※모든강습은 1회 2시간 이상 입니다.
(당일 목표기술 습득 못할시 하루종일 스파르타 할수도 있습니다.
물론 나머지 공부를 하루 죙일 받는다 하더라도1회로 인정 합니다.)
.
-중요설명
.
그동안 우리나라에 없었던 커리큘럼 및 시스템 입니다.
.
모든 사람들은 키나 몸무게등의 신체구조, 중심축, 유연성, 라이딩 성향등의 장단점이 각자 다릅니다.
.
시즌 시작시 앞으로 나가야할 방면 및 목표, 본인에게 맞는 세팅법,
살려야할 장점, 버려야할 단점등을 세밀하게 진단하여 본인에게 맞는 라이딩 스타일 및 연습 방법등으로 누구보다 빠른 실력업을 보장하여 드립니다.
.
그동안 이시스템에 적용되어 티칭을 받은분들은 전원은 한시즌 만에 정말 빠른 실력업을 하였습니다.
.
휘닉스파크에 상주 하셨던 분들이나 주변에서 유심히 보셨던
분들께도 인증 가능 하며,시즌 강습 전후 인증 영상도 자신있게 보내드릴수 있습니다.
.
빠른 실력업이 되지 않을시 100% 환불 보장 합니다.
.
*** 1회 강습별 강사 초이스 시스템
.
FUNxR 강습은 강사의 개인 지정도 가능 하며, 스케줄 관리
시스템을 통한 여러 강사에게 한명씩 돌아가며 받을수 있는
맞춤식 강습도 가능 합니다.
(물론 기초 커리큘럼은 전원 똑같습니다.)
.
1회씩 돌아가며 강사를 선택하여 FUNxR 라이더들의 개개인만의
장점 등등의 엑기스 노하우를 각각 전수 받을수 있고,
본인에게 잘 맞는 강사를 직접 경험하고 선택함 으로서
다방면으로 유리한 효과를 가져올수 있는 시스템 입니다.
.
강사님 옮겨 탄다 눈치 볼일 또한 없으며 여러 강사들에게 티칭을 받음
으로서 보다 본인에게 맞는것을 우선으로 선택을 할수 있도록 만든 제도 입니다.
.
시즌방이 없으신 분들을 위해, FUNxR 하우스에서 강습생 게스트가 허용 됩니다!
.
.
***커리큘럼
.
- 본인에게 맞는 세팅법
.
- 카빙의 기본원리 및 올바른 연습 방법
.
- 본인신체에 맞는 카빙 스타일 찾기
.
- 고관절의 올바은 사용 방법으로 인한 효율적인 데크의
힘 전달 및 연습 방법
.
- 제대로된 고관절 사용으로만 안정적인 기울기 + 낮은자세 카빙하기
(억지로 기울여 팔로 버티는 효율적 라이딩의 벨런스가 깨진 라이딩이
아닌 자연스럽고 효율적인 라이딩 자세 연습)
.
- 이쁜고 안정적이고 멋있는 움직임 만들기
.
- 로테이션을 자제하고 토셔널을 적극 이용한 카빙 연습 방법
(카빙을 할때 로테이션을 사용하면 다음턴의 되돌아 오는
시간적 및 체력적 손실을 많이 보게 됩니다.
그만큼 눈으로 쉽고 확연하게 보일 만큼 다이나믹 과 멋이 줄어들게 됩니다.)
.
- 백사이드나 프론트시 오리궁뎅이(일명 빠따유발턴)가 되지 않고
엉덩이 쏙 들어간 이쁜 자세로 탈수 있는 방법
(이쁜 자세를 추구하시는 분들의 영원한 숙제 이기도 합니다.특히 프론트사이드..
하지만 기본만 알면 하루도 안걸려 습득 합니다.)
.
- 토셔널 사용의 올바른 예
(데크 뿐만 아니라 바인딩 하이백 이나 부츠 등을 효율적 사용하는 방법,
(일부러 토셔널을 사용 하려 하지 않고 저절로 생기는 꽁짜 토셔널을
영리하게 이용하기)
.
- 인위 적인 힘으로 추가하여 누르는 다운 (일명 : 프레스를 더줘)이 아닌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중력을 이용하여 내힘 안들이고 편안하게 낮추는 방법.
(중력->가속->관성->원심력->탄성 등등)
.
- 업다운을 하지 않고도 다이나믹하고, 빠르고, 폭이 넓은
엣지체인징 원리 및 방법
.
-낮은 자세의 올바른 예, 잘못된 예
.
-팔의 사용 하는 빠른숏턴, 팔을 사용하지 않는 빠른 숏턴 ,폭넓은 숏턴

※ 숏턴의 엣지 체인징 스피드는 똑같지만 턴폭을
빠르고 크게 하여 다이나믹을 높여 타는방법과 턴폭을 줄여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 데크의 효율적 운용
(상하체 분리원리, 상하체 일치원리, 부분적용원리, 신체의 좌우 상하
앞뒤 중심축 이동에 따른 데크의 힘전달 및 타이밍에 따른 효율적
운용 뿐만 아니라 다이나믹하면서 안정적인 운용 및 컨트롤 능력을
머리뿐만 아닌 아닌 몸으로도 확실하게 익히게 해드립니다.)
.
-숏턴, 숏미들, 미들, 미들롱, 롱턴의 정확한 구분및 원리
.
- 딥카빙의 기본원리 및 방법
(가끔 딥카빙시 동작을 다운언웨이트라 표현하시는분 계시는데..
그거 아닙니다.또한 선행 동작에 의한 로테이션 성도 아닙니다.)
.
이외에 일일이 다 정확히 글로 쓰려면 너무 길기 때문에 여기까지만 쓰겠습니다.
.
위의 내용은 아주 기본적이고 당연한 내용이 절반 이상 입니다.
.
글로 설명하면 장황 하지만 직접 만나 슬롭이나 리프트에서 설명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
아직까지 우리나라에 정립되어 알려지지 않았거나 없었던 이론들이
다수 이며 해외 상급 라이더 들중에서도 이제 막 자신들만의
라이딩 기술 및 연구 결과 유출하여 퍼져나가는 기술들도 대거 있습니다.
.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엑기스 이론 및 연습 방법 등도
모두 알려 드립니다.
.
※ 문의 및 신청
카톡 ID : funxr
페이스북 메세지 : https://www.facebook.com/shimhoon.filmm
E-mail : funxr@naver.com
.
좀더 깊은 상담 원할시 통화하기 편한 시간과 전화 번호 남겨
주시면 전화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Technical Riding is FUNxR 올림

.
.
.

 

- Dr. Spark: 오죽하면 제가 스키도 아닌 보드 쪽의 글과 동영상을 옮겨 소개하겠습니까?ㅋ

 

c3.png

 

c4.png

c5.png

c6.png

 

위의 공지 글을 올린 심훈 선생과 페북 메신저를 통해 얘기하다 보니 이런 흥미로운 얘기도 나오는군요.^^

 

Shimhoon Filmm: 보드는 스키보다 자유롭지 못 합니다. 두 발이 묶여 있음으로 인한 여러가지 활동적인 제약을 받기 때문에 운동성 (가속,감속,원심력,관성 ,안정성 등등) 으로 비교하자면 스키가 보드보다 월등히 우월하다 생각합니다.

 

저희 FUNxR은 보드팀이긴 하지만 다른 보드팀과의 목표가 다릅니다. 우리의 목표는 보드보다 월등히 우월한 스키의 움직임을 모티브로 삼고 '보드로 스키의 움직임을 얼마만큼 비슷하게 나마 표현할 수 있는가?'에 대해 도전하고 있는 팀입니다.

 

우리나라 스노우보드는 오랜시간 정립되어온 스키기술과 많이 동떨어져 있는 커리큘럼이 대부분이라 몇 년전 저희 모티브와 가장 근접한 일본스키협회(SAJ)에 둥지를 틀게 되었습니다.

 

오늘 만나뵙게되어 굉장히 영광스럽고, 개인적인 바람(욕심)이 있다면 앞으로 많은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말이 너무 길어서 죄송합니다. 안녕히 주무세요.^^

 

 

Comment '4'
  • profile
    일월여신|한상률 2016.09.19 10:39

    정말 잘 탑니다.

    스케이팅이든 뭐든 어떤 다른 운동을 했을 것 같다는 의심(?)이 듭니다.

  • profile
    Dr.Spark 2016.09.19 13:42
    다른 운동에서 엘리트 선수를 했을 수도...
    그게 아니면 좀 이해할 수 없을 정도.ㅋ
  • ?
    홍현무 2016.09.19 17:53

    저분이 보드보다 월등히 우월한 스키~ 어쩌구 하셨는데, 그건 테크니컬 라이딩(단어의 의미에 대해서 논란이 좀 있긴 하지만)을 추구하는 분들이나 그러게 생각하실테고, 카시쪽 계열들은 그렇게 생각안하실 듯 합니다.

    테크니컬 라이딩 태생 자체가, 일본의 기술선수권(?)인지 뭔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빠르게 결승선을 통과하는 순서로 순위를 정하는게 아니라 예쁘게? 타는 걸 채점해서 순위를 가리는 그런 류의 스키대회에서 쓰이는 스키기술을 추구하는 일본식 프리스타일 라이딩을 의미하는 것이니 애시당초 스키처럼 보드를 타고 싶어하는 분들 입장에서야 스키가 보드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하시겠지만, 모든 보더가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아닙니다.

    보드 끊은 지도 10년이 되어가지만, 뭔가 읽다보니 울컥해서 써봤습니다.

     

     

     

     

     

     

     

     

  • ?
    강정선 2016.09.20 11:47

    우월하다는 게 여러 가지가 있을 텐데

    프리스타일은 백이면 백 생각하기 나름일 거구요.

    스키 에어리얼 같은 경우 고공에서 다리도 짝 벌렸다 X 자도 만들고 .....

    보드 하프파이프도 멋있구요.

     

    우월하다는 걸 같은 사면  같은 코스에서 누가 빠른 걸로  본다면

    제 경험에 비추어보면 보드국가 대표급이  취미로 타는 아마추어 레이싱 고수를 이기기 힘든 걸로 보입니다.

    그나마 강설의 급사면에선 아예 상대가 안 될 거고 상급코스의 경우도 큰 차이가 나더군요.

     

    한 5ㅡ6년전 시합에서 약 20% 정도 차이를 보였는데 20%면 대학생과 초등학생 차이.

     

    그나저나 저 동영상...

     

    1년차라고 하니 뭐 거짓은 아니겠지만 한 시즌에 한 50-100번 타고 해외도 나가고 해서 남들 한 5년 이상 탄 구력은 아닌지..?..ㅎ

    하여간 1년에 저 정도 탈 수 있다는 착각을 불러 일으킬 수도 있겠네요..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좋아요
568 단상 한국 국가대표 평창올림픽 출전 문제들... 1 이종국 2018.02.01 1034 0
567 동영상 구글 크롬에서 NBC 스포츠와 Eurosport의 영상들 보는 법 전형욱 2018.02.16 1187 0
566 축하 윤성빈! 윤성빈 선수! 2 이봉구 2018.02.16 652 0
565 ▶◀ 애도 [부고] 유신철 원장님 부친상 21 한상률 2018.01.18 1132 0
564 잡담 스키의 브레이크 2 이봉구 2018.01.19 1517 0
563 사람 찾기 지산스키장 1월 1일 번개 구합니다! 이정현 2016.12.26 658 0
562 동영상 2024.5.18 휘슬러 봄 스킹 영상 제4편 file jerry 2024.05.23 81 0
561 잡담 2014년에 쓴글 "삼성 기록적인 배당을 할것인가?"에 대한 답 2 최경준 2016.11.29 925 0
560 잡담 겨울을 부르는 다이나스타/랑게/써티투(32) 합동 모임 file 박순백 2016.11.12 3052 0
559 기타 2016/11/20(일) "스키부상과 안전" 심포지움이 개최됩니다. 3 file 조민 2016.11.09 505 0
558 잡담 최상급자를 위한 16/17살로몬 X-RACE SL LAB ~~! file 이주형 2016.11.09 1560 0
557 기타 탑 데몬들의 기술토론과 최신 검정포인트를 들을 수 있는 기회. 11월 20일(일) 서울아산병원대강당. file 조민 2016.11.09 1162 0
556 잡담 정동현 선수의 스킹~! 1 file 이주형 2016.11.07 2795 0
555 잡담 지난 금요일의 스키 부상 심포지움 사전 미팅 6 file 박순백 2016.11.14 1603 0
554 동영상 Harald Harb with Reilly McGlashan! Two generations, 37 years apart. Has skiing changed???? file 장홍운 2016.11.02 890 0
553 잡담 김준형 데몬의 펠라코리아가 스키복까지? file 박순백 2016.10.15 2889 0
552 잡담 한달 전 2016-17 스키 시즌을 시작... 5 file 전형욱 2016.10.11 2611 0
551 잡담 페북에서 본 아크로 스킹 6 file 박순백 2016.09.21 1214 0
» 동영상 보드 강습 공지를 보다보니 여기도 단 한 시즌만에 엄청나게 잘 타는 아가씨가...^^ 4 file 박순백 2016.09.18 3305 0
549 잡담 논현동 스포츠파크에 들러보니... 3 file 박순백 2016.08.19 3867 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81 482 483 484 485 ... 511 Next
/ 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