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윤세욱 칼럼(Who's Phillip Yoon?), 조용훈 칼럼, [PC-Fi 가이드]

황준의 블로그, 장현태의 블로그, 창고란의 오디오, 갤러리란의 오디오
실용 오디오, 와싸다, 소리 오디오, 누리안 비상, 케이블/진영공구, 진공관 구입, 이치환 교수의 아날로그보이스

수리: CDP/CDT 나돈주(부천) 010-2723-7411, 하이파이전자수리 김명운 010-3781-2712(남양주 진접읍 장현로147번길 1), 진공관 앰프 등 이상훈(전북 진안) 010-9009-0760, , 황홍락(강서) 010-5695-5560, 참소리(부천) 011-9922-8123

조회 수 1913 좋아요 94 댓글 1
제가 미국 Columbia를 첫번째 Label로 소개하는 이유는
LP를 최초로 발매한 회사라는 의미도 있지만
현재 상표로 남아있는 최고로 오래된 레코드 회사라는 측면도 있습니다.

오늘은 Wiki에 소개된 Columbia의 역사를 옮겨봅니다.

Columbia Phonograph Company는 1888년에 Edward Easton에 의해서
Washington D.C.에서 설립된 회사입니다.
회사 이름은 바로 D.C. District of Columbia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합니다.
미국의 수도를 대표하는 음반 회사란 뜻이 됩니다.




초기에는 Edison phonograph 장치와 실린더를 파는 회사로 시작했습니다만
1901년부터는 베를리너식 Disc 레코드도 판매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드디어 1908년부터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양면 디스크를
최초로 판매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그 이전에는 모두 한쪽 면에만 음을 기록했다고 하는군요.
이 무렵부터 소위 "Magic Note"라고 불리는 16분 음표 쌍을 상표로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아마도 양면 기록을 의미하지 않았을까 추측해봅니다.
(이 상표는 영국 Columbia를 거쳐 지금은 Sony Music의 상표가 되었습니다)




미국의 Columbia 레코드사는 1923년에 법정 관리에 들어가게 되고
급기야는 1925년에 소유권이 영국 자회사였던
the Columbia Graphophone Company로 넘어가게 됩니다.

1931년에는 미국 Columbia 레코드사를 소유하고 있던
영국의 Columbia Graphophone Company가
베를리너가 세운 영국 Gramophone Company와 합병하여
Electric & Musical Industries Ltd. (EMI)가 설립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는 반독점법에 의해서 미국 Columbia를
Majestic Radio의 제작사인 Grigsby-Grunow Company에 매각하게 됩니다.

1934년에는 다시 American Record Corporation (ARC)에 매각되었다가
1938년에는 ARC가 통째로 Columbia Broadcasting System (CBS)로 넘어가면서
1988년 CBS 레코드 그룹이 Sony에 매각될 때까지 CBS의 소속으로 남게 됩니다.
(CBS는 1927년 콜럼비아 레코드사가 Arthur Judson와 공동 설립했던 회사인데
투자 자금은 얼마 안 가 회수되었지만 이름은 그대로 남았다고 합니다.
결국 이번에도 자기가 세운 회사에 팔리는 신세가 되었습니다)

결국 우리가 아는 LP 시절에는
미국의 Columbia는 CBS의 소속이었고
영국의 Columbia는 EMI의 소속으로 완전히 다른 회사였습니다.
하지만, 두 회사는 60년대 초까지 제휴 관계에 있어서
Mono 시절에는 영국 Columbia의 레코딩이 미국 Columbia에서 발매되기도 하고
Stereo 시절에는 미국 Columbia의 자회사인 Epic의 레코딩이
영국 EMI에서 판매되기도 했습니다.

아래는 영국 Columbia의 대표적인 연주자인
Dinu Lipatti와 Walter Gieseking의 미국 Columbia 발매입니다.
이 레코드의 Original은 당연히 영국 Columbia의 Mono 시리즈인 33CX 시리즈입니다.






제가 33CX로 같은 녹음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Original과의 음질 차이는 논하기 힘듭니다만
듣기에 나쁘지는 않습니다만
아무래도 오리지날보다는 못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신 가격은 영국 초반에 비해서 매우 저렴합니다.

3편에서 계속...

p.s.)
잡설란 맨 앞에 있는 윤세욱 선생님의 "니퍼 이야기"를 읽으시면
글의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아직도 안 읽어보신 분들께서는 꼭 읽어보시길 강추드립니다.
Comment '1'
  • ?
    박순백 2011.04.26 10:45
    [ spark@dreamwiz.com ]

    재미있습니다.
    일단 글은 재미있어야...ㅋ

    요즘 저도 열심히 LP를 듣습니다.
    지난번에 구한 클래식 LP는 물론,
    가요 LP도 듣습니다.

    오늘 아침엔 이문세의 2장 합본
    앨범인 공연 실황 음반을 틀었는데,
    이문세 노래는 웬 히트곡이 그리도
    많은지...-_-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좋아요
26 강좌 소리의 구조 - 주파수와 배음(가야금 소리 관련 우미숙 선생님 질문에 대한 답변) 윤세욱 2012.04.13 1922 29
» 강좌 미국 Columbia 음반사의 LP 이야기 <2편> 1 조용훈 2011.04.25 1913 94
24 강좌 미국 Columbia 음반사의 LP 이야기 <1편> 1 조용훈 2011.03.02 2810 116
23 강좌 Clock과 Jitter에 관하여 <2편> 11 조용훈 2009.09.23 4260 230
22 강좌 Clock과 Jitter에 관하여 <1편> 10 조용훈 2009.06.24 5153 294
21 강좌 VRDS25 개조 [5편] 6 조용훈 2009.05.05 3119 259
20 강좌 VRDS25 개조 [4편] 13 조용훈 2009.05.03 2829 252
19 강좌 VRDS25 개조 [3편] 20 조용훈 2009.03.30 3446 151
18 강좌 VRDS25 개조 [2편] 7 조용훈 2009.03.25 2814 272
17 강좌 Teac VRDS 25 CDP 픽업 교체 방법 13 조용훈 2009.03.16 7495 308
16 강좌 Teac VRDS 25 픽업 문제 해결 12 file 조용훈 2009.03.15 6126 347
15 강좌 디지털 오디오 전송 규격 비교 4 조용훈 2008.10.15 6670 503
14 강좌 [청취 후기] Mult-bit과 Delta-sigma형 DAC의 소리 경향 12 조용훈 2008.09.08 3932 410
13 강좌 VRDS25x 개조 [1편] 14 조용훈 2008.08.29 4321 385
12 강좌 진공관과 반도체 그리고 부귀환 3 이정 2008.08.12 3823 477
11 강좌 Upsampling, Upconversion에 관하여 24 조용훈 2008.07.29 6519 400
10 강좌 1 bit DAC <4편> 4 조용훈 2008.07.18 6346 528
9 강좌 1 bit DAC <3편> 8 조용훈 2008.07.01 4759 460
8 강좌 1 bit DAC <2편> 20 조용훈 2008.06.19 4274 300
7 강좌 1 bit DAC <1편> 3 조용훈 2008.06.14 8874 9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