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윤세욱 칼럼(Who's Phillip Yoon?), 조용훈 칼럼, [PC-Fi 가이드]

황준의 블로그, 장현태의 블로그, 창고란의 오디오, 갤러리란의 오디오
실용 오디오, 와싸다, 소리 오디오, 누리안 비상, 케이블/진영공구, 진공관 구입, 이치환 교수의 아날로그보이스

수리: CDP/CDT 나돈주(부천) 010-2723-7411, 하이파이전자수리 김명운 010-3781-2712(남양주 진접읍 장현로147번길 1), 진공관 앰프 등 이상훈(전북 진안) 010-9009-0760, , 황홍락(강서) 010-5695-5560, 참소리(부천) 011-9922-8123

조회 수 1099 좋아요 0 댓글 12

흔히들 노이즈 덩어리라고 일컫는 PC를 일종의 CDT로 삼고 여기에 DAC를 붙이고  앰프와 연결해서 HiFi를 즐기는 시대가 되었는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개인의 경우 여러 경로를 거쳐 음원파일을 모으고 그 중에는 린이나 B&W 맥킨토시 같은 제작사에서 레퍼런스용 음원을 편집한 것도 있는데 소위 레퍼런스라고 발췌한 음원 중에는 엄청난 스케일의 다이나믹스를 가진 음원이 적지않게 있습니다.

 

즉 파워앰프와 스피커에겐 무척 시련을 주는 음원이란 뜻이지요.  1812년 서곡의 웅장한 대포소리,   불새 중에서 Infernal Dance(특히 Eiji Oue가 지휘한 미네소타 오케스트라 연주 음반)의 굉장한 팀파니 울림.  이런 것을 들을 땐 혹시 스픽의 유닛이 찢어지거나 터지지 않을 까 염려도 되고 간혹 파워앰프의 스픽 보호회로가 동작해서 잠시 스픽서 무음상태가 되면 가슴이 덜컥 내려앉아 "무슨 고장이 났나?" 하곤 얼른 프리 볼륨을 줄이기도 합니다.

 

위에 예를 들은 것처럼 피시를 소스로 했을 때 순간 임팩트가 강한 음원을 프리의 볼륨을 많이 올려서 들을 경우 신호에 DC가 많이 섞여 나온다고 하는 데  불새(반오디오 Firebird) DAC의 아날로그 파트에 DC필터가 설계 되어있는 것인지 궁금하고, 이렇게 발생하는 DC성분이 프리에서도 필터링이 안될  정도로 많아 파워앰프로 들어갈 경우 파워앰프엔 어떤 영향을 주나요?

 

 

 

 

Comment '12'
  • ?
    홍진표 2016.07.26 10:47

    반오디오 Firebird DAC 출력에서 DC 성분이 나오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PC가 소스일 경우 임팩트가 강한 음원에 DC 성분이 많이 섞여 나온다는 것은 금시 초문입니다. PC에 대해 상당한 반감을 품으신 분이 만들어낸 이야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더구나 DC 성분이 출력된다면 임팩트가 강하건 약하건 무조건 나오는 것이지 음원에 따라 가려서 나오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 ?
    이봉우 2016.07.26 14:41
    저도 의아한 내용을 앰프 제작자에게 들어서 궁금해서 질문드린 건데 이제 신경 쓰지않고 음감만 하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홍진표 2016.07.26 16:56
    반오디오 Firebird DAC에서 DC 성분이 나온다면, 또 PC에서 DC 성분이 나온다면 저희 회사 앰프는 매번 보호회로가 동작해야합니다. 교장선생님도 아시다시피 저희 회사의 앰프는 그리폰 안텔레온 A급 앰프입니다. 순시 출력이 1200W에 달하는 시스템에 DC가 들어가 보호회로가 작동 안하면 스피커는 바로 터져 버립니다. 그런데 저희가 그렇게 오랜시간 PC에 DAC을 더해서 거진 10년을 다양한 시스템에서 운영했지만 보호회로가 동작한 적은 단 한번도 없었습니다.

    보호회로가 고장 아니냐구요? 아닙니다. 어떤 아마추어 제작자가 만든 진공관 프리 앰프를 연결하니 보호회로가 동작하더군요. 이 기기에서 DC 성분이 흘러 나왔기 때문입니다. 이때 처음 보호회로가 동작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 ?
    이봉우 2016.07.27 09:32
    프리앰프에서 DC가 출력될 경우의 증상은 여러 번 들어봐서 말씀하신 내용 충분히 이해가 됩니다.
    파워앰프 입력단에 DC가 유입되어 파워앰프의 보호회로가 동작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또 다른 경우에 파워앰프 보호회로가 동작할 수 있을까요? 예를 들어 스피커의 내입력은 높은 데 파워앰프의 전원부 용량이 부족할 경우 얖서 위에 제시한 순간 대 전류을 요구하는 음량을 내는 음원을 플레이할 때도 파워앰프의 보호회로는 동작해야 정상이 아닌지요? 어렵풋이 알 것 같기는 한데 정확한 지식이 없어 우문인 줄 알면서도 여쭤봅니다.^^
  • ?
    홍진표 2016.07.27 12:32
    파워 앰프에 과전류 차단 기능이 있다면 대음량 재생시 보호회로가 동작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 보호회로가 동작될 정도로 대음량으로 울린다고는 생각하기 힘듭니다.
  • ?
    이봉우 2016.07.27 14:43
    제 청음환경이 주위 환경에 스트레스 받지 않는 장소인데다가 여름에 운용하지 않는 매장 내부이고 높이가 높아 대음량으로 가끔 듣곤 하는 데 특별한 음원에서 보호회로가 작동을 하여서 이것이 DC문제인지? 파워앰프의 전원부용량이 부족한 것이 원인인지?가 궁금해서 질문한 것입니다. 이제 머리속에 정리가 된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듣기에 불새DAC의 업글 버전이 곧 출시된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주로 어떤 부분이 업글 되었는지요? 그리고 구 버전과 비청 계획은 없으신지요?
  • ?
    홍진표 2016.07.27 15:50
    새로 출시할 불새 DAC는 따로 발표할 예정입니다 ^^.
    현재는 거의 모든 생산 작업이 완료되었고 케이스 제작만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
    조용훈 2016.07.27 14:49

    말씀하신 Reference Audio의 음원은 믿을만한 음원이고

    Clipping 등의 문제도 없는 것이므로

    DC 출력은 걱정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앰프 전원 장치가 스위칭 전원(SMPS)인 경우라면

    큰 출력에서 과전류에 의한 Protection이 동작할 수 있고

    이 경우 대부부은 전압이 갑자기 떨어집니다.

    혹, 이런 문제로 Protection이 동작하지 않았나 모르겠습니다.

     

  • ?
    이봉우 2016.07.27 15:09
    파워 전원장치는 리니어이고 단지 전원부 용량이 600VA로 콤팩트한 편입니다. 보통 말러나 브루크너의 대편성 교향곡을 적지않은 음량으로 듣곤 하는데 과분할 정도로 스피커 구동력도 좋고 음색도 맘에 드는데 단지 저음 테스트용으로 제작된 것으로 짐작되는 순간적으로 대음량을 발생시키는 음원일 때만 스픽보호회로가 작동될 정도로 볼륨을 많이 높여서 듣곤 하는 데 이렇게 혹사시키다 보니 #메이커 점검 결과 PC-Fi 운용시 발생할 수 있는 DC가 프리 혹은 그 전 단계에서 필터링이 안되어 파워앰프의 입력 전원부가 쇼트된 것으로 생각된다#는 말을 들어서 과연 DC가 원인인지 파워의 전원부용량이 작은 게 원인인지가 궁금해서 질문한 것이지요.

    참고로 스픽이 4옴 87dB 권장앰프출력 150-500W 우퍼 12인치 4웨이 5스픽의 밀폐형이고 앰프는 8옴 110W. 입니다.
    국내 메이커이므로 무상 A/S를 해주셨는데 제가 볼륨을 조금 낮추어 들으면 문제는 없는데 원인은 알아야 할 것 같아서요.^^
  • ?
    유신철 2016.07.27 17:59

    오됴꽝이라 질문의 답을 드릴 수는 없지만,

    주로 밤10시 이후 음악을 들으며 아랫집에서 인터폰이 올까봐
    마지막 악장 코다 에서는 볼륨 줄여 조심조심 들어야 하는 제 입장에서


    프리와 메인 볼륨 '이빠이(^^)' 올려놓고 음악을 듣는
    이봉우교장선생님의 여유로운 청음환경이 너무너무 부럽습니다.

  • ?
    이봉우 2016.07.27 18:27
    안녕하셨어요? 유 박사님.
    겨울철에만 바쁜 척하고 여름엔 백수이다 보니 좋아하는 음악이라도 신나게 들어보고져 볼륨에 제한을 두지않고 듣곤 합니다. 그러다 보니 오됴적인 쾌감에 맛을 들여 스피커가 부서져라 크게 듣다 보니 콤팩트한 앰프가 혹사당해서 국내 메이커 사장님이 정밀 진단을 해주신다고 해서 이참에 궁금한 것 질문했던 거지요. 홍천 생활 청산하고 상경하면 저 역시 이웃의 눈치를 보면서 음감을 해야될 때가 머지않아 올 것 같습니다.^^
  • ?
    Anold 2016.07.29 00:12

    안녕하십니까?

    저도 얼마전까지는 음악 감상용으로 제법 잘 튜닝된 Sony VAIO 노트북 PC를 트랜스포트로 사용하다가, 최근에 태블릿으로 트랜스포트를 교체한 경험이 있어 정보 공유 차원으로 글을 남깁니다.

     

    제가 사용했던 VAIO는 SSD를 사용하며, 내부 회로적으로도 쉴드가 잘 되어 있어서 몇 년 동안 계속 사용해왔는데요..

    휴대용 음악 감상 기기로서 태블릿을 활용하다가 생각보다 음질이 괜찮다는 것을 깨닫게 되어 급기야 VAIO를 밀어내고 트랜스포트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단, 트랜스포트로서의 태블릿 성능을 제대로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있습니다.

    1. Apple iPad가 아닌 Android를 OS로 사용하는 태블릿 이어야 합니다.
      - LG나 삼성 제품이 좋습니다.

      - 원인이 무엇인지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만, Apple iPad에서는 디지털 노이즈가 들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2. OS는 가능한 최신 OS (현재는 Android 마쉬멜로 (6.0.1)이 가장 최신 OS 입니다)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 Lollipop OS와 Mashmellow OS를 비교 해보았는데요, 제 귀에는 Mashmellow OS가 더 좋았습니다.

      - 곧 Android N OS (Android Nougat, 7.x)가 공개된다고 하는데요.. N OS는 아직 테스트 해보지 못했습니다.

    3. 태블릿에 기본 내장되어 있는 Music App.으로는 안되고요, 다음 중 한가지 이상의 유료 App을 Google Play Store에서 구입해야 합니다.

      - USB Audio Player Pro

      - Neutron Music Player

      - Onkyo HF Player

      - 저는 위 3가지 App을 모두 사서 깔아 놨는데요.. 개인적으로 Neutron Music Player가 제일 좋았습니다.

        (Music Player의 성능에 대한 평가는 개인차가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USB Audio Player Pro를 많이 추천하고 있습니다).

    4. LTE 기능이 없는 WiFi only 제품이 더 좋습니다.

      - LTE 기능이 들어있는 제품은 RF가 복잡하기 때문에 WiFi only 제품에 비하여 노이즈가 더 많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5. 태블릿과 DAC는 OTG (On The Go) 케이블로 연결해야 하는데요..

      오디오 등급의 OTG 케이블은 구하기 어려우므로, 가능한 짧은 길이의 OTG 케이블을 사용해야 합니다.

     

    태블릿이 오디오 트랜스포트로서 좋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내부에 모터 등 구동계가 전혀 없으므로, 구동계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2. 극히 미약한 전파 신호를 다루는 기기이므로 내부적으로 철저하게 차폐 처리가 되어 있어서 내부 발생 노이즈가 매우 작습니다.

    - 혹시나 각종 RF 기능 (WiFi, GPS 등등)에 의한 노이즈가 우려되면, “비행기 모드 (Flight Mode)”를 on해두면 됩니다.

    - 하지만 제 느낌으로는 WiFi only 제품의 경우 비행기 모드 on/off에 따른 차이가 느껴지지는 않았습니다.

    3. Android OS 자체적으로 UAC (USB Audio Class)를 지원합니다.

     

    물론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고요, 단점도 있긴 합니다만, 20~30만원대의 저렴한(?) 트랜스포트로서는 매우 흡족한 결과를 기대하실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좋아요
75 질문 패밀리룸(?) 오디오 구성 7 한정수 2021.07.23 846 1
74 질문 클라인 프리앰프 sk-5a의 포노단 조정법을 문의 드립니다 9 김인욱 2021.04.18 579 1
73 질문 첨부된 그림이 안 보입니다 1 강원기 2020.08.09 157 0
72 질문 오래된 글에 첨부된 그림을 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5 조용훈 2020.07.14 292 0
71 질문 국내 시판가격 문의 1 file 김동진 2018.06.21 767 0
70 질문 포노앰프로부터의 잡음, 접지, 험? 4 허승 2018.01.01 4609 0
69 질문 Ittok LV11 톤암 정비 (on Linn LP12) 12 file 오제이 2017.07.02 746 1
» 질문 PC-Fi로 고음질 무손실 파일음원 음감시 발생할 수 있는 DC의 영향 12 이봉우 2016.07.21 1099 0
67 질문 초보가 하이파이 구성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15 바람을 가르는 2016.07.15 1562 0
66 질문 FLAC 2 윤일중 2016.07.08 707 0
65 질문 튜너 추천 부탁드립니다. 3 이상훈 2016.04.07 1614 0
64 질문 이제 막 오디오 입문하였습니다. 질문 드립니다. 5 이장원 2015.07.30 1311 0
63 질문 LP판 가격 문의 2 조거사 2014.01.21 3012 0
62 질문 USB HUB의 전면 LED등의 기능 3 이봉우 2014.01.09 1842 0
61 질문 "초당" 방문의 날(신년 1월3일 저녁7시)을 잡으시면 어떨까요? 13 유신철 2013.12.18 1431 0
60 질문 스왕자님 피어리스 15095와 4665의 승압비가 궁금. 4 이봉우 2013.07.02 2504 0
59 질문 [김선주] 300~1,000만 원 선에서 오디오 시스템을 추천받으려면? 박순백 2013.05.27 2258 0
58 질문 오디오용 디옥시트 사용법 질문드립니다. 3 file 박용호 2012.10.05 1376 19
57 질문 스왕자님께 우문 한 개 있음. 9 이봉우 2012.08.31 1044 24
56 질문 DT-monoBlock에 대해 이승섭님께 자문을 구함 13 이봉우 2012.08.20 1416 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