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성애의 Naver 블로그 "디카로 그리다"
조회 수 425 좋아요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두만강 이북 '간도는 조선 땅'
1909년 日帝제작 地圖서 ‘증거’ 발견
토문강을 두만강 아닌 송화강 지류로 표기… 中주장 뒤집어
1909년 淸·日협약에 따른 간도의 중국 이양은 근거 없어져
  
일본이 간도(間島)지역을 중국에 넘겨준 ‘청·일 간도협약’의 바탕이 됐던 ‘토문강=두만강’설을 정면에서 반박하는 지도가 발견됐다.
토문강(土門江)’을 두만강(豆滿江)이 아닌 별개의 송화강 지류로 분명히 밝힌 이 지도는 1909년 ‘청·일 간도협약’ 당시 일본측이 만든 것으로 ‘조선과 청의 국경인 토문강은 두만강의 또 다른 이름’이라고 줄곧 주장해온 중국에 대한 중요한 반박자료일 뿐 아니라 간도가 조선 땅이었음을 밝히는 결정적 자료로 주목된다.

이상태(李相泰)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실장이 최근 서지학자 고 이종학(李鍾學)씨의 소장자료 중에서 찾아내 8일 공개한 이 지도는 ‘제9도(第九圖) 백두산 정계비 부근 수계(水系) 답사도’라는 제목 아래 백두산을 중심으로 압록강·두만강·송화강(토문강)과 그 지류의 흐름을 상세히 그려 놓은 것이다.

지도에는 ‘메이지(明治) 42년(1909년) 10월, 축척 40만분 1’이라고 제작연도와 방식을 밝히고 있다. ‘조선총독부 도서’ 직인과 ‘아홉 번째 지도’라는 표시가 있는 것으로 볼 때 당시 일제 통감부나 군부대가 전략적인 목적으로 작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 두만강 북서쪽에 토문강 표기 '백두산 정계비 부근 수계답사도' 에 명기된 지명들.① 토문강 ②두만강 ③정계비를 세운 백두산 ④ 압록강. '토문강'을 ②로 보았던 간도협약의 체결 내용과 달리 일본 역시 ① 이 토문강임을 알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지도는 백두산 부근에서 동북 방향으로 흐르다가 다시 북쪽으로 꺾여 송화강과 합류하는 하천에 ‘토문강’이라는 이름을 명기해 놓았고, 동쪽으로 흐르는 강에는 ‘두만강’이라 적어 토문강과 두만강이 같은 강의 다른 이름일 수 없음을 분명히 했다.

1712년(숙종 38년) 세워진 백두산 정계비는 ‘압록강과 토문강을 조선과 청의 경계로 삼는다’고 적었으나 ‘토문강’을 송화강의 지류로 해석한 한국과 달리 중국은 ‘토문강=두만강’설을 내세워 간도지역이 청나라 영토였다고 주장해 왔다.
- 조선일보 2004. 9. 9. -

----------

1. 고인돌 2005-03-07 07:35:47  

이거 빨리 국회에서 영유권 선언해야 합니다.

북경쪽의 점유에 의한 영유권 효력발생 시효가 몇년 안남았습니다.

2. 김가람 2008-01-18 07:41:25  

참 말이 많은 분쟁입니다. 사실, 조선왕조실록에서는 두만강을 경계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1.국제법상 영토라고 주장할 수 있는 항목에 몇가지가 포함되고, 2. 당사자끼리 맺었어야할 간도협약을 일본이 우리나라 대신 맺었으니, 여전히 분쟁거리가 남아 있군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7 Minecraft Forceop For Great Sex DebbraDenkernsxlzssd 2015.03.18 250
106 3 Tips With Become Admin On Any Minecraft Server KateMingayrxzmbbv 2015.03.18 2191
105 6 Steps To Home Theater Sound System Of Your Dreams RobbinLindrumizyh 2015.03.18 1894
104 드디어 그 가고파 하던 청령포에~ 고성애 2012.02.28 182
103 신석기시대에 외과수술을 받은 두개골 고성애 2012.02.27 207
102 100년 전의 숭례문 모습 고성애 2012.02.27 213
101 2006년 3월3일의 남대문 고성애 2012.02.27 147
100 [문화재야화] 청동기에 나체의 남자가 등장한 까닭은? 1 고성애 2012.02.27 190
99 임금도 꺾지 못한 고집 고성애 2012.02.27 242
98 세종대왕 '친필' 문서 사상 첫 발견 고성애 2012.02.27 272
97 부처님 배 속이 역사를 바꿨다. 고성애 2012.02.27 199
96 현존 유일의 통일신라 목조불상 고성애 2012.02.27 230
95 본명을 잃어버린 문화유산 제 이름 찾기 고성애 2012.02.27 182
94 어찌하여 연락이 안되나요? - 고세진 고성애 2012.02.27 175
93 정조의 어필과 추사 김정희의 간찰 공개 고성애 2012.02.27 253
» 간도 협약 뒤집을 결정적 간도 지도 발견 고성애 2012.02.27 425
91 고구려 홍련봉 1보루 - 토기와 와당들 고성애 2012.02.27 249
90 디스커버리 채널이 제작한 콜로세움(Colosseum) 사이트 고성애 2012.02.27 373
89 100년전 일본 화보집의 글 - 고구려는 한국사 고성애 2012.02.27 204
88 아틀란티스 유적, 위성 사진에 나타나다 고성애 2012.02.27 22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