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Home스키스키 타임라인
타임라인(통합 게시판)은
'읽기/추천'만 가능합니다.
'쓰기/수정' 등은 개별 게시판을 이용하세요.

스키판의 탄성과 회전반경의 상관관계?

안녕하세요.

스키에 입문한지 몇년되지 않은 40대 늦깍이 스키어입니다.

 

스키 등급에 따라서 스키판의 강성(탄성)이 달라진다고 알고 있습니다.

같은 사이드컷에 같은 회전반경을 가지는 여러등급의 회전스키가 있다가 가정을 했을때 등급이 높을 수록, 즉 강성이 강할 수록 같은 엣지각도에 같은 프레스 강도를 줬을때 회전 반경이 커지나요? (스키딩없이 풀카빙으로 탔을 경우)

 

스키 정보란에 써져 있는 회전반경이라는것이 그냥 엣지각을 주지 않고 단순히 사이드컷으로만 계산된 이론값인가요?

 

현재 12m의 회전반경을 가지는 중급자용 회전스키를 가지고 있습니다. 회전이 너무 잘되는거 같아 좀 더 회전반경이 넓은(15~17m) 올 라운드 스키로 바꿀까 고민중에 있습니다. 아니면 강성이 좀 더 강한 데모급 스키로 바꿔야 하는지 고민이 되네요?

 

제가 숏턴에 재미를 잘 못 느끼고 적당한 회전반경으로 여유롭게 타고 싶습니다. 

고수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로그인 없이도 추천할 수 있습니다.
추천은 화니아부지님께 힘이 됩니다.

이 게시물을

댓글'2'
일월여신
  • 2025.03.17
  • 수정: 2025.04.02 12:32:34

판이 강하면=뻣뻣하면 덜 휘고, 판이 그리는 원호가 더 크게 되죠. 카빙으로 탄다면 상급자용일일수록 반경이 크다고 할 수 있는데,  판의 탄성 분포, 캠버 모양, 인터페이스(플레이트) 등 반경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많기에 꼭 그러하다고 단정은 못 합니다.  게다가 타는 사람의 기술 수준, 습성이 가장 큰 차이를 만들어내는데 그건 정말 딱 잘라 답하기가 어렵죠.

 

- 숏턴이 재미 없다면 올라운드용 말고 그냥 대회전급으로 가세요. 길이 178-182cm 반경 19-22m. 

  카빙 미디엄 턴, 스키딩 턴(모든 반경)은 대회전 스키로 하는 게 제맛이고 또 잘 됩니다. 표시 반경은 20미터 넘는데, 수치상 그런 거고 더 작게 돌아집니다. 그런 대회전 스키가 제 성능을 내는 반경은 미디엄 턴입니다. 대회전 경기 코스의 기문이 만드는 그 반경이지요.

이 댓글을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대회전 스키는 엄두를 못 내고 있었는데 다음 시즌에 시승해 봐야 겠네요. 스키라는게 알 수록 배우고 생각할 거리가 많아서 더 매력으로 다가오네요. 감사합니다

이 댓글을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수
추천
섬네일
9시간 전
조회 수: 18
추천: 1
2025.04.17
조회 수: 157
추천: 0
2025.04.11
조회 수: 196
추천: 2
2025.04.11
조회 수: 219
추천: 0
2025.04.10
조회 수: 205
추천: 0
2025.04.07
조회 수: 201
추천: 3
2025.04.06
조회 수: 371
추천: 5
2025.04.01
조회 수: 265
추천: 1
2025.03.31
조회 수: 611
추천: 0
2025.03.29
조회 수: 491
추천: 0
2025.03.29
조회 수: 484
추천: 0
9시간 전
조회: 18
댓글:  0
추천: 1
2025.04.17
조회: 157
댓글:  2
추천: 0
2025.04.14
조회: 2
댓글:  0
추천: 0
2025.04.11
조회: 196
댓글:  0
추천: 2
2025.04.11
조회: 219
댓글:  1
추천: 0
2025.04.10
조회: 205
댓글:  0
추천: 0
2025.04.07
조회: 201
댓글:  0
추천: 3
2025.04.06
조회: 170
댓글:  2
추천: 0
2025.04.06
조회: 371
댓글:  1
추천: 5
2025.04.01
조회: 265
댓글:  0
추천: 1
2025.03.31
조회: 611
댓글:  6
추천: 0
2025.03.29
조회: 491
댓글:  6
추천: 0
2025.03.29
조회: 484
댓글:  5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