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Home스키스키 사랑방
쓰기
잡담
스노우 문화 최절정 시즌의 기억 06~10 시즌 (넋두리)

제 생각에 대한민국 스노우 문화의 최절정기는 06-10 시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때 신생 스키장이 집중적으로 생겨났습니다. 돈이 된다고 생각하니까..

 

하이원. 오투.알펜시아.에덴밸리.오크밸리.곤지암까지.

 

기존에 있던 스키장들과 함께 그야말로 불야성이 었습니다.  동네 학원마다 애들을 봉고차에 태워 스키캠프에 보내고...

 

젊은이들은 겨울만되면 스키장에 몰렸습니다.  이때는 스키가 메인이 아니었고 보드가 더 많았습니다.

 

시즌방이 몇 개인지 셀 수도 없고, 수많은 젊은 남녀,  늙은 남녀가 각기 모여 시즌방에서 지냈습니다

 

백만대명이라는 그 단어도 그때 생겼습니다. 진짜 백만이 몰렸는지는 모르지만...입구부터 어마어마 했습니다

 

대형 스키장의 주요 IC는 주말만 되면 IC입구부터 정체였습니다.  면온IC  횡계IC(지금은 대관령IC) 등등.

 

그 앞의 렌탈샵도 불야성..  

 

4.15일이 제 생일인데. 제 생일날 용평에서 스프링시즌을 보냈습니다.  약간 더워서 리프트에서 꾸벅 졸기도 했습니다.

 

10월달에 스키장이 오픈을 해서 4월에 폐장을 했으니 5개월을 넘게 타는 것이었습니다.  시즌권 값이 아깝지 않았습니다.

 

당시 최전성기에 젊은 시절을 보낸 사람들  이제 그 자녀들이 7~8살쯤 되었습니다.

 

지금 시즌권 구입시 미성년 자녀무료(?) 이벤트를 하고 있습니다. 그 당시 젊은 시절을 보낸 사람들을 겨냥한 것입니다.

 

대형스키장은 지금은 슬로프를 다 열지 않습니다. 다 열지 않는 것을 넘어서서 제설 자체를 느리게 합니다.

 

12월 말이 되어도 주요 슬로프의 제설이 되지 않는 것도 허다합니다.  

 

많은 스키장이 이미 폐장을 했고 ..간당간당한 곳도 몇 군데 있습니다.

 

박순백 사이트를 알게 된 것도 그때입니다.  사이트에 글이 가장 많았던 것도 그때 같습니다.   중고거래도 그때 가장 활발했던 것 같습니다.  

 

백야 스키가 있었습니다. 말 그대로 밤새 타는 스키보드죠.  백야는 젊은 사람이 많았기에  보드 타는 사람이 훨씬 많았습니다.

 

지금은 스노우 문화를 즐기는 사람 자체가 확 줄었습니다.  온난화 영향도 있지만, 인구 감소도 있고..

 

저는 스마트폰 보급이 결정타라고 생각합니다.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모든 젊은이들이 각자의 세계로 들어갔습니다.

 

그런 스마트폰 세상에서 스노우 문화는 좀 이질적인 면이 있습니다. 

굉장히 시간을 많이 잡아먹고 체력적으로 힘들고 준비를 많이 많이 해야 하는 놀이거든요.  

 

IC부터 막히고,  엄청난 인파에 짜증이 나고, 락카를 선점하기 위해 전쟁치르던 

 

그때의  힘듦이 지금은 그립네요.   젊은 사람들이 미어터지는 그때 그 활기가 그립습니다.

 

 

로그인 없이도 추천할 수 있습니다.
추천은 스트렛님께 힘이 됩니다.

이 게시물을

댓글'4'
임시후
  • 2024.10.11
그 시절만큼 다시 부흥하긴 힘들겠지만 최근 몇 년 사이 그 이전보다는 사람이 좀 늘어난 것 같기도 합니다. (기사를 보니 그렇다고 합니다 ^^;;) 또 어디선가는 그런 얘기를 하더라고요. 소셜SNS에 자랑하기 위해 스키장을 찾는 인구가 늘었고, 그걸 보고 또 찾는 사람들이 생겨서 스키장 찾는 사람이 많아졌다고...처음엔 자랑만 하러왔던 사람 중에 매니아가 나오길 기대해 봐야겠습니다.

이 댓글을

4대행위
  • 2024.10.13
좋은말씀입니다. 저도스키매니아로서. 아쉬운부분이. 말도안되는 데몬들의강습료가. 스키인구감소를. 부추기는행동입니다. 이번시즌. 오전오후 하루1백만가까이올랐더군요. 그러니 레벨3. 레벌2. 얼씨구나덩다라올리구요. 그러니 스키인구줄고. 스키장들은. 돈이안되니.슬로픈 2월에나개장하는 어처구니없는일들이생기고ㅡㅡㅡㅡㅡ

이 댓글을

그런대로
  • 2024.10.16
제가 저 맘때 후기쯤 입문한 스키어입니다...주말에 사람 많다 백만대군,마마대군하지만 저 때 비하면....
사람이 많은 거 그냥 당연하다 생각했던 낭만의 시대~

이 댓글을

이상엽
  • 2024.12.03
저도 06년도에 보드에 입문했습니다. 몇년을 즐기다가 결혼하고 애기낳고 그렇게 스키장과 멀어졌다가 어느덧 아이들이 컸고 아이들과 스키를 배우기 시작한게 이제 3년차네요. 그때 다녔던 스키장에 시간이 흘러 아이들과 함께 네식구 스키다러 다니면 참 감회가 새롭습니다. 겨울 시즌이 너무 짧아져서 아쉽긴하네요. 요즘 중국이 그때처럼 보드가 엄청 유행입니다. 저도 중국에 일있어서 간 김에 스키장 들려서 스키 타다보면 저희만 스키고 다들 보드를 타더라고요. 그 많은 젊은이들이 보드타면서 넘어지면서 깔깔대는걸 보고있으면 딱 06,07,08년도 그때가 생각납니다.
스키는 처음 초급 강습만 받고 천천히 배우면서 타고 있습니다. 너무 강습에 스킬에 스트레스 받을 필요없이 잘 가고 잘 멈추니 느긋하게 탑니다. 보드보다 스키가 좋은게 주위를 더 둘러볼수있고 가고 서는게 편하네요. 이제 나이도 먹었겠다 지갑사정은 그때보단 좋으니 장비빨 도움도 좀 받고요ㅎ
그때 100만원짜리 소나타2 사서 일끝나면 매일매일 스키장으로 달려가던게 생각나네요. 돈모아서 장비사고, 밥은 컵라면으로 떼우면서 진짜 열심히 타던 그때ㅎㅎ 어느덧 20년 가까이 지났군요. 세월 참 빠르네

이 댓글을

공유하기

분류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수
추천
섬네일
잡담
2025.03.17
조회 수: 273
추천: 3
동영상
2025.03.16
조회 수: 122
추천: 0
동영상
2025.03.15
조회 수: 159
추천: 1
동영상
2025.03.15
조회 수: 49
추천: 0
기타
2025.03.13
조회 수: 1209
추천: 7
동영상
2025.03.02
조회 수: 167
추천: 1
동영상
2025.02.28
조회 수: 152
추천: 5
기타
2025.02.28
조회 수: 1079
추천: 3
잡담
2025.02.26
조회 수: 259
추천: 0
동영상
2025.02.23
조회 수: 370
추천: 1
잡담
2025.02.21
조회 수: 410
추천: 3
2025.02.19
조회 수: 186
추천: 2
기사
2025.02.05
조회 수: 2711
추천: 0
동영상
2025.02.02
조회 수: 234
추천: 1
동영상
2025.01.25
조회 수: 190
추천: 2
동영상
2025.01.21
조회 수: 158
추천: 0
잡담
2025.01.16
조회 수: 569
추천: 3
사진
2025.01.14
조회 수: 559
추천: 2
잡담
2025.03.17
조회: 273
댓글:  2
추천: 3
동영상
2025.03.16
조회: 122
댓글:  0
추천: 0
동영상
2025.03.15
조회: 159
댓글:  1
추천: 1
동영상
2025.03.15
조회: 49
댓글:  0
추천: 0
기타
2025.03.13
조회: 1209
댓글:  9
추천: 7
동영상
2025.03.02
조회: 167
댓글:  0
추천: 1
동영상
2025.02.28
조회: 152
댓글:  0
추천: 5
기타
2025.02.28
조회: 1079
댓글:  3
추천: 3
잡담
2025.02.26
조회: 259
댓글:  0
추천: 0
동영상
2025.02.23
조회: 370
댓글:  0
추천: 1
잡담
2025.02.21
조회: 410
댓글:  2
추천: 3
2025.02.19
조회: 186
댓글:  1
추천: 2
기사
2025.02.05
조회: 2711
댓글:  8
추천: 0
동영상
2025.02.02
조회: 234
댓글:  0
추천: 1
동영상
2025.01.25
조회: 190
댓글:  0
추천: 2
동영상
2025.01.21
조회: 158
댓글:  0
추천: 0
잡담
2025.01.16
조회: 569
댓글:  1
추천: 3
사진
2025.01.14
조회: 559
댓글:  0
추천: 2

여자스키복 남자스키복 스키복세트 장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