덧눈 걷힌 아이스반에서의 스킹(고수님들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얼마전부터 엣지 튜닝에 입문해 ET다이아몬드로 엣지 정비를 시작한 스키어입니다.
용평에서 스키를 타고 있는데 스킹은 하루 4시간(오전2~3시간), 야간(1~2시간) 정도 꾸준히 타려고 하고 있구요, 얼마전 내린 비와 급 추위로 인해 보강제설을 약간 한 거 같긴 한데 3~4 슬롭만 지나도 군데군데 아이스반이 드러나서 본능적으로 그쪽을 피해서 타려고 하는 편입니다.
고수분들은 아이스반에서도 숏턴을 잘 하시던데 아이스반에서 어떻게 하면 거의 안 밀리게 탈 수 있을까요? 엣지 각도 문제인가 하여 현재 86도/베이스0.5도로 정비해서 타는데도 좀 많이 밀리는 거 같아요..
ET다이아몬드로는 일반 튜닝샾에서 가는 것보다 적게 갈려서 제대로 된 각도가 나오지 않는 건지.. 궁금하네요~~
물론 후경으로 타지 않고 턴의 전반부터 프레스를 하려고 하는데도 좀 생각보다 많이 밀려 몸이 휘청할 정도라 당황스러워서요~~^^
튜닝 및 스키 고수님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
?
-
?
네~~ 소중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88도에서 86도로 맞춰 한 번 갈았는데 실제 그 각이 나오지 않았거나 스킹으로 인해 금새 무뎌졌을 수도 있겠군요.. 가급적 88도에 1도 유지해 보려고 하겠습니다~^^
-
?
86로 맞춰서 갈았다는 게 정확히 뭘 하셨다는 말씀이신가요?
각도기 86도 맞춰 놓고 다이아몬드 스톤으로만 슥슥하셨다는 건가요?
그 말씀이면 여전히 88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각도 재보셨나요?
엣지각 새로 셋팅하시려면 사이드월 쳐내고 파일로 박박 깎아 내셔야 합니다. -
?
네 저도 그런거 같아요~~ 스톤으로만 했기 때문에 각이 잘 안서는거 같기도 하고.. 매일 조금씩 손보고 있는데 오늘은 좀더 그립이 생기는거 같네요~~^^ 감사합니다~ 오늘도 가서 좀더 갈아봐야겠네요~~
혹시 파일로 한번 샾에서 기준을 잡고 관리하는게 더 나을까요?? -
ET 다이아몬드 숫돌로 에지 튜닝을 하는 데 문제가 생기는 일은 없습니다. 에지 정비는 잘 하셨을 것이고, 잘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BNN 님이 쓰신 글을 읽어보니 아이스반에서 밀리는 건 장비도 에지 문제도 아니고, 정신적인 것 같습니다. 평소에 아이스반을 피해간다는 말씀을 하시는 것으로 보아서요. 아이스반을 보면서 정신적으로 밀리면 일단 후경이 나오게 되는데 그렇지는 않으시다고 하니 그럼 이유는 확실해 집니다.
"턴의 전반부터 프레스를 하려고 하는데도 좀 생각보다 많이 밀려 몸이 휘청할 정도"과감하게 아래발 안쪽날에 체중을 걸지 못 하고 있는 것입니다. 결국 아이스반에 겁을 먹기 때문입니다. 전 사실 슬로프에서 아이스반이 나오면 그걸 찾아가는 편입니다.^^; 왜냐하면 아이스반에서의 스킹이 "진짜 상급자"와 상급자를 구분해 주는 경계선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아이스반만 나오면 "아이스반 스킹을 할 (혹은 연습을 할) 흔치 않은 기회"라고 생각하고 그리로 달려가서 정확한 자세로 에징을 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런 자세로 타면 에지가 좀 닳아있어도 별 문제 없이 밀리지 않고 탈 수 있습니다. 긍정적인 마음 자세가 중요하다는 말씀입니다.
특히 미디움턴 이상의 턴, 롱턴을 하면서는 속도가 있는 상태에서 아이스반을 가로 질러 가는 경우이기 때문에 기존의 자세만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도 별 문제 없이, 전혀 밀림이 없이 아이스반을 통과하게 됩니다. 그런데 롱턴을 하다가 아이스반을 보며 겁을 먹거나 주춤거리게 되면 자세가 흐트러지고 그에 따라서 에지에 제대로 걸려있던 하중이 풀리고, 에지가 밀릴 수 있는 여지가 생기게 됩니다. 아무 생각 없이 카빙 자세를 그냥 유지하거나 아이스반에 다가가면서 더 체중을 걸도록 노력하시면 그건 별 문제 없이 통과할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숏턴을 하면서 아이스반을 만났을 때도 마음가짐을 위와 같이 가져야 합니다. 숏턴은 리듬입니다. 그 리듬을 잃지 않으면서 아이스반에 이르기 직전에 더 의도적으로 에지를 세우며, 더 체중을 걸어보세요. 아래발 안쪽날 하중을 잘 하고 있다가 정신적으로 밀리면 순간적으로 하중이 풀리거나 양발 하중으로 변할 수 있는데 그걸 경계해야 합니다. 그 때는 필요하다면 아이스가 깨지라는 기분으로 에징을 강하게 해보세요. 설면의 아이스반들은 강하지 않습니다. 영하 20도 정도의 상태가 아니라면 대개는 무른 얼음이어서 강한 탄소강의 스키 에지로는 체중만 걸면 쉽게 깎여나갈 정도로 약합니다. 그리고 덧눈이 있거나 없거나는 굳이 따질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그게 아이스반 스킹에서 영향을 미치지도 않습니다.
아이스반 스킹을 잘 하는 방법은 첫 째로는 그에 대한 겁을 버리는 것이고, 겁낼 이유는 전혀 없습니다. 그리고 두 번째로는 아이스반 스킹의 경험을 많이 하는 것입니다. 아이스반이 나오면 그리로 달려가서 연습을 해야합니다. 자주, 많이 그런 기회를 가지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아이스반이 보이면 빙긋 웃음이 날 정도로 그게 좋아져야 그걸 극복할 수 있습니다.^^ 그래 보십시오.
굳이 장비에 신경을 쓸 필요는 없지만 아이스반 스킹에서는 강한 스키일수록 좋습니다. 레이스용 스키(양판용 레이스 스키, 혹은 진짜 FIS WC 표시가 된 월드컵 레이스 스키)로 밀리면 그건 분명 실력의 문제입니다. 소위 데몬용 스키로도 아이스반 공략엔 별 문제가 없습니다. 일부 퍼포먼스 스키로 제가 아이스반 스킹을 해 본 적이 있는데, 그건 상급 스키들만큼 맘 대로 아이스반을 콘트롤하기가 힘들더군요.(체중을 못 버티고 휙휙 휘어버리니까 뭘 해볼 수가 없더라고요.)
아이스반을 잘 타게 되면 그게 묘한 우월감을 가지게 하고, 꽤 큰 즐거움을 줍니다. 그리고 슬로프에 아이스반이 있으면 사람들이 거길 피해 가기 때문에 거기서는 충돌사고 같은 것도 안 일어납니다.ㅋ 혼자 맘껏 탈 수 있어서 좋고, 자신의 스키 실력을 테스트해 볼 수 있어서 좋고, 그걸 공략하는 쾌감 때문에 그 후의 스킹까지도 즐거워집니다.
아이스반과 친해지십시오.^^ 친하면 안 무섭죠. 먼저 다가가셔야 합니다. '아이스반은 내 친구. 만나고 싶다, 아이스반.' 이렇게 되실 때까지...^^
시도해 보시고, 나중에 좋은 소식 전해주세요. 그리고 아무리 시도해도 안 되시면 아이스반이 많이 생기는 시기에 저를 만나러 오세요. 함께 타며 조언해 드리겠습니다. 근데 위에 말씀드린 대로 하시면 절 보시러 오실 필요도 없으실 겁니다.^^
제게 메일로 알려주세요.^^ irenology@naver.com -
?
아이스반에 대한 사이다급 정면 돌파
역대 최고 댓글인 것 같습니다. ㅋㅋㅋㅋ -
?
전 케슬러 팬텀 타고 있습니다~ 팬텀S를 타보고 싶은데 신상은 너무 비싸네요 ㅡㅡ
박사님 긴 소중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더욱 증진할께요~^^
-
?
'기존의 자세만 유지하고 있어도, 아이스반은 내 친구. 만나고 싶다, 아이스!'
아~ 진짜... 저도 그렇게 해보겠습니다.
"나를 살려줄 수 있는 건 99% 포지션이다"....라고 김창근 사부님이 자주 언급하십니다. -
?
저도 그말에 동감합니다~ 그래서 더욱 포지션에 신경을 쓰면서 타는데도 밀리니 짜증이 확 ㅜㅡ 그래도 박사님 말씀처럼 아이스반과 친해질 때까지 실력을 더욱 키워 보겠습니다 ~^^
-
타시는 스키가 어떤 스키인지 모르겠으나 월드컵에 가까울수록 덜 밀립니다. 대신 다루기가 힘들어 지겠죠.
발바닥에 정확하게 하중을 하고 스키를 타면 아이스에서 밀리는 일도 적어지고 밀려도 자세 유지에 큰 어려움이 없습니다.
그리고 중요한것이 엣지만 정비 마시고 베이스 평탄 잡으셔야 합니다. 그래야 에지정비시 제각이 나오게 됩니다.
생각보다. 베이스가 빨리 배불러집니다.
핫왁싱을 자주 하시면 베이스가 덜 빨리 불러집니다.
아이스는 보이면 피해 다니세요.
아이스는 걍 날만 걸어 지나 가시고 아이스에서 턴하지 말고 눈이 뭉친곳에서 턴하시면 에지를 아끼고 쉽게 회전이 가능 합니다.
-
아니, 김영곤 선생님은 댓글 잘 써 놓시고 막판에 아이스 피하라시면...ㅠㅠ
절대 안 됩니다. 아이스반 쫒아 가서 타시게 해야합니다^^ 그래야 아이스반에 대한 공포를 극복하고 그것도 잘 타게 됩니다. 에지 아끼지 말고 스킹 중에도 다이아몬드 숫돌로 손봐 가면서 타면 되죠.^^(굳이 그러지 않아도 되지만...) -
?
케슬러 팬텀 타고 있습니다. 데모용급이라 부드러운데 아무래도 엣지 정비 능력과 포지션의 문제인 거 같네요 ㅜㅜ
-
아이스는 썰어야 제맛이죠!!
설질 !여기서 실력차이가 난다 라는 생각이 사라지실때, 아이스 공포는 사라지실겁니다!
근데 얼마전 비온후 의 설질은 데몬들도 무서웟을 겁니다 ㅎ
안전 스킹하세요ㅁ^^
-
?
네 감사합니다^^ 아이스를 극복하는 그날까지!!
-
대회에 몇 번 나가거나 레이싱 스쿨의 기문 체험을 해 보세요. 그러면 아이스반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집니다.
레이싱은 깃발 꽂아놓은 데로 가야 하고, 깃발이 눈 앞에 다가오면 바닥이 어찌 되든 다 통과하게 됩니다. 그렇게 하다 보면 꽝꽝 얼고 겉눈 다 날아간 눈이 타기에 나쁜 상태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될 겁니다. ^^;
날은 예각이라고 더 그립력 좋은 것은 아닙니다. 얼마나 날을 잘 다듬었는지가 중요합니다. 날에 얼굴이 비칠만큼 예리하고 매끈하게 다듬으면 완전히 녹았다 얼은 블루 아이스가 아니라면 날 박힙니다. (대개 그 정도까지 할 필요는 없지만, 줄 지나간 자국 없는 정도까지는 갈아야죠.) 선수들은 물을 뿌려가며 얼린 데서 탑니다. 데모급 이상이면 아이스반 돌파 됩니다. 스키를 믿으세요.
-
?
네 작년에 레벨2 게이트에서 0.1초차로 아쉽게 떨어졌는데 기문도 경험 많이 해봐야겠더라구요~^^
-
?
박 박사님이 말씀하신 정확한 자세에 저도 한 표 던집니다.
아이스반에선 그냥 정확한 보다 "아주 정확한 자세"로 타면 문제 없이 턴이 된다에 한 표.
저도 아이스반 평사면 뿐만 아니라 급사면 아이스 범프도 가끔 일부러 들어갑니다. 정신 바짝 차리고 얼음을 깨고 탄다는 생각으로 아주 정확하게 평소보다 조금 더 빨리 체중이동해서 턴 초반부터 온 체중을 바깥발에 집중해서 한 턴 한 턴 하며 내려가죠. 거기선 누가 안 봐줘도 내가 정확하게 제대로 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거든요.
저도 에지 세팅 각은 레이싱 코스 들어가는 스키만 빼고 다 88 / 1로 잡고 탑니다.
-
?
네~ 한턴 한턴 집중해서 아이스반을 공략해 보겠습니다~^^
-
?
수작업 에지 샤프닝을 하실 때 본인 각도. 89, 88, 87 베이스 0.5 .1 도
처음 덧 에지를 좀 더 깎아 놓고
ET 다이아몬드 숯돌로 매일 버 제거하시고
숯돌질만 해도 한 시즌 날카로운 에지로 스키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에지 한 시즌 내내 갑니다.
그리고 아이스반에서 밀린다는 건
tip을 못 박고 들어 가서 그렇습니다.
.
첫 턴에서 tip을 못 박고 들어가는 경우는
up이 너무 밋밋하게 해서
아니면 폴라인 전에 몸을 돌리기 때문입니다.
에지 세팅하시고 그냥 앞으로만 푸시하시면
tip을 박고 들어 갈 수 있습니다.
-
?
네~ 소중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말씀하신 대로 Tip을 먼저 진입하기 위한 움직임은 하고 있는 듯 한데.. 결론은 엣지 샤프닝을 한 번 맡기는 걸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 이후 스톤으로 매일 다듬어가면서 타려구요~^^
-
빙판 스킹을 위해서 에지는 날이 서면 좋기는 합니다만, 그게 큰 문제는 아닙니다.^^ 정확한 자세의 유지와 에지에 체중을 정확히 거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
네 박사님~~ 말씀하신 대로 집중해서 한 턴 한 턴 정확한 자세로 타려고 하니 확실히 덜 밀리더라구요~~ 밀리더라도 에지가 걸리는 순간에 가압을 하니 확실히 안 밀리고 돌아가더라구요~~ 아직 눈밥이 많이 부족한가 봅니다~^^
-
오, 시도해 보시고 답을 얻으셨군요.^^ 다행입니다.
이젠 계속 아이스반만 보이면 그리로 달려가시면 됩니다.
그럼 빙판 스킹 전문가가 되실 겁니다.^^
번호 | 분류 | 제목 | 이름 | 날짜 | 조회 수 | 좋아요 | |||
---|---|---|---|---|---|---|---|---|---|
22536 | 튜닝/정비 | 없어진 스타힐리조트 내에 스키 튜닝하셨던 사장님 어디서 영업하시나요? 5 | 정진화 | 2023.01.29 | 1071 | 0 | |||
22535 | 스키화/부츠 | 선생님들 인튜이션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3 | 김두구 | 2023.01.29 | 433 | 0 | |||
22534 | 기타 | 살로몬 스키 타는 세계적인 선수는 누가 있나요? 10 | Paul | 2023.01.29 | 714 | 0 | |||
22533 | 스키판 |
새 장비 컨트롤이 안 됩니다.ㅠㅠ(장비 사진 추가했습니다)
18 ![]() |
이희주 | 2023.01.29 | 1468 | 0 | |||
22532 | 고글/스포츠글라스 | 오클리랑 우벡스 고글 4 | 김소형 | 2023.01.29 | 425 | 0 | |||
22531 | 바인딩/더비 | 오가사카 tc sk 아웃셀 조절 문의요 2 | 최선영 | 2023.01.29 | 244 | 0 | |||
22530 | 스키복/장갑/양말 |
골드윈 알파인 신형 바지가 너무 타이트하네요
![]() |
김소하 | 2023.01.28 | 494 | 0 | |||
22529 | 스키장/시즌권 | 용평리조트 그린슬로프 옆 주차장에는 cctv가 없나요? 2 | 박성채 | 2023.01.28 | 633 | 0 | |||
22528 | 스키판 | 초중급자 스키 질문 | 김다빈 | 2023.01.28 | 339 | 0 | |||
|
|||||||||
22527 | 튜닝/정비 | 살로몬 XRACE SL LAB 스키의 공장출고 엣지각도가 궁금합니다 2 | 희뎅 | 2023.01.27 | 375 | 0 | |||
22526 | 폴/스틱 | 스키 폴 적정 길이는 어느 정도인가요 ..? 5 | 박범진 | 2023.01.27 | 929 | 0 | |||
22525 | 스키판 | 초보자용 스키 구매 질문 1 | 김명재 | 2023.01.27 | 342 | 0 | |||
22524 | 바인딩/더비 |
18-19 뵐클 sl 앞바인딩이 원래 흔들거리나요?
6 ![]() |
구본건 | 2023.01.26 | 518 | 0 | |||
22523 | 스킹 기술 | 급사에서 하키스탑 연습질문 드려요 11 | 요데빗 | 2023.01.26 | 1151 | 0 | |||
22522 | 바인딩/더비 |
살로몬 s/race pro x16 바인딩 세팅 도와주세요
5 ![]() |
박다훈 | 2023.01.26 | 406 | 0 | |||
22521 | 스키판 |
18/19뵐클 sl 하고 sl pro 차이가 어떤걸까요?
2 ![]() |
구본건 | 2023.01.26 | 564 | 0 | |||
22520 | 강습 | 가격 합리적이고 좋은 강사님 고르는 법 문의 2 | karl | 2023.01.25 | 960 | 0 | |||
22519 | 스키복/장갑/양말 |
스키복 메이커 문의 드립니다
4 ![]() |
오영훈 | 2023.01.25 | 673 | 0 | |||
» | 스킹 기술 | 덧눈 걷힌 아이스반에서의 스킹(고수님들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23 | 차별된스키강습 | 2023.01.25 | 966 | 0 | |||
22517 | 스키판 | 안녕하세요, 스키입문자 장비문의 드립니다. 3 | 강전형 | 2023.01.25 | 313 | 0 |
86/0.5 면 거의 선수들 셋팅각인데요..
이렇게 엣지각이 날카로우면 (예각이 커질수록) 정비 주기가 짧아집니다. 사이드 86이면 하루 못 탈 걸요. 몇 번 내려오면 금방 무뎌집니다.
그래서 보통 레크레이셔널 스키어들은 88/1 도가 기본이고 여기서 사이드를 좀 더 잡던가 하는데.. 웬만하면 86까지는 잘 안잡습니다. 87 정도면 모를끼..
여튼 현재 사이드각은 86이라 하셨으니 각은 충분히 날카로운데.. 아이스반에서 안 박힌다면.. 엣지가 무뎌진 상태라고 봐야죠..(스킹에 문제가 없다고 했을 때)
여튼 날 세우는 건 다이아몬드 스톤으론 안 되고 (되긴 하는데.. coarse grit 으로 엄~~~청 갈아야 됩니다..) 파일로 박박 깎아내야 합니다.
파일로 깎아내면 버가 좀 올라오는데 그런 건 다이아몬드 스톤으로 마무리하시면 되구요.
아 그리고 파일 가이드도 멀티각 있는 가이드 보다는 싱글 각 가이드가 낫습니다.
엣지가 충분히 잘 갈렸는지 보시려면 손톱을 대고 날을 주욱 훑었을 때 손톱이 안 빠지면 날이 잘 섰다 하구요.. 아니면 플라스틱 형광펜 같은 거 엣지에 대고 대각선으로 긁었을 때 플라스틱이 깎여 나올 정도면 날 잘 섰다 합니다.
일단 본인 스키 엣지 날이 잘 섰는지부터 판단하시고.. 무뎌졌으면 파일로 날 잘 세우고 다시 타보세요.
그러고도 계속 밀리면 본인 스킹을 점검해보시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