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Home스키스키 정보/칼럼
쓰기
정보
하드쉘 스키복에 대하여 - 개념과 특징, 그리고 그 장단점

하드쉘 스키복에 대하여

 

최근에 하드쉘(hardshell) 스키복들이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24/25 시즌에 제가 입었던 벽돌색 스윗프로텍션(Sweetprotection) 사의 크루세이더 스키복이 전형적인 하드쉘 스키복이었지요.(참조: https://www.drspark.net/ski_review/6310059 ) 이런 스키복은 백컨트리 스키복이나 보드복으로 오래 전부터 나오고 있던 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스키복이 최근에 많이 등장하고 있고, 일반적인 스키복으로도 각광받고 있는 것이지요.

 

IMG_0913.jpeg
 

IMG_0912.jpeg
 

 

그러다보니 국산 스키복인 카브(Carve)도 24/25 시즌에 이미 하드쉘 스키복을 내놨고, 시즌이 종료되어 가는 이 시점에서는 모글 전용 스키복도 하드쉘 타입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IMG_0911.jpeg
 

일본의 대표적인 스키복인 데상트에서도 다음 시즌용으로 하드쉘 라인을 발표했고, 그걸 박시현 데몬이 미리 착용하고 휘팍의 모글 슬로프에서 스킹하는 영상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IMG_0910.jpeg
 

아직도 하드쉘 스키복은 정통(?) 스키복만 입던 스키어들에게는 매우 생소한 것이 사실입니다. 

 

하드쉘 스키복의 개념과 특징

 

하드쉘 스키복과 보드복은 주로 외부의 날씨나 환경적 요인에 대한 보호력을 강조하는 디자인입니다. 이 라인의 이름인 “하드쉘”은 그 특성에서 유래했는데, ’하드(hard)’는 ‘단단한’ 또는 ‘강한’을 의미하며, ’쉘(shell)’은 ‘외피’를 뜻합니다. 즉, 하드쉘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 요인이나 환경에 대한 보호력을 제공하는 단단한 외피를 가진 스키복이나 보드복을 말합니다.

 

하드쉘 디자인의 특징

 

하드쉘 스키복 혹은 보드복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데 중점을 둔 복장으로,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하드’라는 단어가 의미하는 단단함과 강력한 외부 보호 기능이 강조된 디자인을 특징으로 합니다. 하드쉘은 기본적으로 날씨나 외부의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보통 극한의 날씨에서 활동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하드쉘 디자인의 특징

 

하드쉘 스키복과 보드복은 주로 기후 조건에 맞춰 설계된 방수성, 방풍성, 내구성 등이 중요한 기능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주로 야외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1. 방수성과 방풍성

 

하드쉘 복장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바로 방수성과 방풍성입니다. 스키나 보드를 탈 때나 산악 활동을 할 때, 날씨가 급격히 변할 수 있습니다. 강한 바람, 비, 눈 등의 기후 변화에 의해 촉발되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드쉘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방수 처리 및 방풍 기술을 적용합니다. 대부분의 하드쉘은 고어텍스(Gore-Tex)와 같은 특수 방수 소재나 멤브레인 기술을 사용하여, 비나 눈에 젖지 않게 하고 체온을 유지하게 돕습니다. 방수 성능은 물의 침투를 막아주며, 방풍(윈드프룹) 성능은 강한 바람을 차단하여 체온 저하를 방지합니다. 이는 특히 고산지대나 겨울철에 강력한 바람을 동반한 환경에서 스키나 보드 활동을 할 때 유리합니다.

 

2. 내구성

 

하드쉘은 내구성이 뛰어난 소재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로 고강도 나일론, 폴리에스터 등 튼튼한 합성 섬유로 만들어지며, 마찰이나 충격에 강하게 설계되어 극한의 환경에서도 쉽게 손상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하드쉘은 긴 시간 동안 사용해도 기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험난한 지형에서의 활동에 적합합니다. 또한, 스키나 보드와 같이 빈번하게 마찰을 일으키는 스포츠에서는 내구성 있는 소재가 더욱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3. 무게가 가벼운 편

 

하드쉘 복장은 무게를 최소화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스키나 보드와 같은 스포츠를 할 때, 몸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기능성을 유지하면서도 가벼운 무게로 제작되어, 몸에 부담을 주지 않으며 빠르게 반응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다만, 하드쉘의 특징상, 보온성은 별도로 추가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드쉘의 무게가 가벼운 것은 활동 중 몸에 부담을 주지 않지만, 그로 인해 보온 기능은 일반적으로 부족할 수 있습니다.

 

4. 레이어링(layering)

 

하드쉘은 외피 역할을 하며, 보통 내부에 보온 기능을 갖춘 이너웨어나 레이어링 웨어을 입어야 합니다. 하드쉘 자체는 내구성과 보호 성능을 강화하는 데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의 온도를 유지하는 데는 별다른 기능이 없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드쉘을 입고, 그 안에 따뜻한 미들웨어 내피나 얇은 기능성 티셔츠, 그리고 이너웨어 등으로 여러 겹을 입어 보온성을 높여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하드쉘은 ‘다층적 의복 시스템’을 전제로 한 복장으로, 활동 환경에 맞는 맞춤형 의복 착용이 필요합니다.

 

하드쉘의 장단점

 

하드쉘 스키복과 보드복은 여러 가지 장점이 있지만, 그만큼 단점도 존재합니다. 사용자가 하드쉘을 선택할 때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점

 

1. 날씨로부터의 보호

 

하드쉘의 가장 큰 장점은 강한, 혹은 혹한의 상황에서 신체를 보호하는 능력입니다. 특히 눈이나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 하드쉘의 방수와 방풍 기능은 신체를 보호하며, 차가운 바람이나 물이 침투하는 것을 막아줍니다. 이는 날씨가 거칠어질수록 더욱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또한, 하드쉘은 높은 산이나 차가운 환경에서 매우 유용하게 작용하여 등산복으로도 훌륭합니다. 특히, 스키나 보드와 같은 액티브한 활동을 할 때 날씨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하드쉘 스키복의 경우에는 비가 오는 경우, 그 자체로 완벽한 우비의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2. 내구성

 

하드쉘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역할 외에도, 내구성이 뛰어납니다. 내구성이 강한 소재로 만들어져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마모가 덜 발생합니다. 험한 환경에서 오랜 시간 사용을 지속할 수 있어 경제적이기도 합니다. 또한, 고강도 소재를 사용하여 스키나 보드 활동 중 마찰에 의한 손상도 잘 견딥니다.

 

3. 가벼운 무게

 

하드쉘 복장은 대체로 가벼운 무게로 설계됩니다. 무거운 장비를 피하고, 활동 중 불편함을 줄여주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빠르고 민첩하게 움직일 수 있으며, 장시간 활동을 할 때에도 부담을 느끼지 않습니다.

 

단점

 

1. 보온성 부족

 

하드쉘은 보온성이 부족합니다. 하드쉘 자체는 외부 보호 기능이 우선시되기 때문에 내부에 따뜻한 보온 기능이 부족합니다. 이에 따라 추운 날씨에서 하드쉘만 입고 활동을 할 경우, 보온성을 위한 별도의 보온복을 추가로 입어야 합니다. 이는 다층적인 의복 시스템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며, 추운 환경에서는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통기성 부족

 

하드쉘은 방수 및 방풍성을 중요시하는 대신, 통기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방수가 잘 되도록 설계된 복장은 수분이나 땀이 몸에 쌓이게 할 수 있으며, 이는 활동 중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강한 운동을 하거나 긴 시간 활동을 할 경우, 땀을 흘리며 피부가 습기를 느끼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하드쉘 스키복은 이런 문제를 팔과 옆구리에서 허리에 이르는 긴 방수 지퍼를 이용하여 해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지퍼가 상하단으로 있어서 양쪽에서 열게 되어 매우 기능적입니다.

 

3. 스타일이 단조로울 수 있음

 

하드쉘은 기능성을 강조하는 디자인이기 때문에, 일부 사람들에게는 디자인이 다소 단조롭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스타일보다는 실용성에 집중하기 때문에, 화려한 디자인이나 색상이 적은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등산복 같다는 지적을 받기도 합니다. 기존의 레거시 스키복의 스타일로 즐기고자 하는 사용자에게는 상대적으로 다소 심플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일반 스키복의 특징과 장단점도 다시 한 번 살펴볼 필요가 있겠지요?

 

일반적인 스키복은 하드쉘과 달리 여러 기능을 균형 있게 포함하는 복장으로, 보통 날씨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보온성과 방수성, 통기성을 모두 고려합니다. 이는 스키와 보드뿐만 아니라 다양한 겨울 스포츠 활동에 적합하도록 설계됩니다.

 

장점

 

1. 보온성과 편안함

 

일반 스키복은 보온성을 기본적으로 갖춘 복장으로, 보통 안쪽에 보온성이 뛰어난 소재가 들어가 있습니다. 그래서 하드쉘과 달리 별도로 보온성을 추가할 필요 없이 겨울철 추운 환경에서 착용하기 좋습니다. 이는 외부 기온이 낮은 환경에서 편안하게 활동할 수 있게 해줍니다. 보온성이 높으면 체온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고, 추운 환경에서도 춥지 않게 활동할 수 있습니다.

 

2. 다양한 디자인

 

일반 스키복은 기능성과 함께 스타일을 고려한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합니다. 색상, 패턴, 스타일이 다양하여, 각기 다른 취향에 맞춰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보온성과 통기성뿐만 아니라 디자인적으로도 인기를 끌 수 있는 요소들이 많습니다. 이를 통해 활동뿐만 아니라 스타일도 만족시킬 수 있습니다.

 

3. 다양한 활동에 적합

 

일반 스키복은 스키나 보드뿐만 아니라 다른 겨울 스포츠 활동에도 적합합니다. 여러 가지 환경에 맞는 다양한 스타일을 제공하며, 겨울철 외부 활동을 다양하게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일상적인 외출이나 겨울 여행에도 적합한 복장이 많습니다.

 

단점

 

1. 방수성과 방풍성 부족

 

일반 스키복은 하드쉘에 비해 방수성과 방풍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집니다. 보통 일반적인 스키복은 어느 정도 방수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극한의 날씨 조건에서 그 성능은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비가 많이 오거나 바람이 세게 부는 날씨에서는 물이나 바람이 복장에 침투할 가능성이 커져 체온 유지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보온성 과도한 의존

 

일반 스키복은 보온성을 중요한 기능으로 삼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내피나 충전재가 추가되어 보온 효과가 뛰어납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지나치게 두껍고 무거운 디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두께는 빠른 움직임을 방해하거나 활동 중 과열되거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활동 중 과도하게 보온이 되면 과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땀이 나기 시작하고, 그 땀이 옷에 흡수되면서 체온을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3. 내구성 부족

 

일반 스키복은 하드쉘에 비해 내구성이 떨어지는 소재를 사용할 경우가 많습니다. 고강도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터로 제작된 하드쉘에 비해, 일반 스키복은 더 부드럽고 가벼운 소재가 많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소재는 부드럽고 착용감이 좋을 수 있으나, 마찰에 약하거나 험한 환경에서 쉽게 마모될 수 있습니다. 이는 장기간 사용 시 빠르게 손상되거나 구멍이 날 수 있는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4. 무겁고 두꺼운 디자인

 

일반 스키복은 보온성을 우선시하다 보니, 더 두껍고 무거운 디자인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활동 시 움직임에 방해가 될 수 있으며, 특히 급격한 속도 변화나 민첩성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스키복이 너무 두껍거나 무거운 경우, 체온 조절이 어려워져 과열되거나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레이어링이 불가능합니다.

 

5. 상대적인 통기성 부족

 

일반 스키복은 보온성을 높이기 위해 충전재나 두꺼운 안감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통기성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장시간 운동을 할 때 땀을 흘리면, 복장에서 생긴 습기가 피부에 남아 불쾌감을 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피부가 차가워지거나 불편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겨울 스포츠에서 매우 불편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profile
"질긴 놈이 이긴다."
별 재주 없는 나는 남들 그만 둘 때까지 계속해야 했다.
아니면 남들과의 경쟁을 피해 남들이 하기 전에 먼저 해야 했다.
그게 내가 살아온 방법이다.
로그인 없이도 추천할 수 있습니다.
추천은 DrSpark님께 힘이 됩니다.

이 게시물을

댓글'2'

저도 이번 시즌에 THE MOUNTAIN STUDIO의 쉘자켓을 입고 있습니다.

 

박사님께서 언급하신 장점은 저는 무엇보다 레이어링(layering)이 가장 장점인것 같습니다.

기온에 따라 슬림 베스트 또는 슬림패딩 선택해서 입을 수 있어 편리하고 좋은것 같습니다.

다양한 활용도는 덤이구요..

그런데 단점으로 언급하신 단조로운 스타일이 저는 장점입니다.  

요즘 너무 화려한 스키복들이 많아서 그런건지 저도 이제 반백이되서 그런건지 단순한게 좋네요.. ^^;;

 

그런데 제가 입는 TMS는 자켓에 통풍구가 없는게 좀 당혹스러웠습니다.  ㅎ

KakaoTalk_20250225_140826807.jpg
 

P.S 올해는 슬로프로에서 뵙지 못해 아쉽습니다. 내년에는 꼭 슬로프에서 뵙겠습니다. ^^

이 댓글을

산신령
  • 2025.02.25

하드쉘의 종류도 다양하지만 이런 기름종이 같은 뻣뻣한 하드쉘의 가장 큰 장점은 활엽수나 싸리나무 같은 잔가지가 많은 일본의 트리런에선 천하무적, 거의 갑옷 수준입니다. 제가 다양한 하드쉘 아웃터를 입고 15년을 거친 트리런을 즐겼지만 약간의 나무에 긁힌자국 이외 전혀 상처가 없어 특히 악천후엔 항상 착용하는 하는 스키복입니다. 이보다 좀 더 부드러운 하드쉘은 몇번의 상처로 폐기처분 한적도 있습니다.

이 댓글을

공유하기

분류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수
추천
섬네일
KSIA
2025.02.20
조회 수: 337
추천: 5
칼럼
2024.12.20
조회 수: 1103
추천: 5
KSA
2024.12.18
조회 수: 224
추천: 0
기타
2024.12.16
조회 수: 311
추천: 1
KSIA
2024.12.16
조회 수: 708
추천: 1
기사
2024.12.11
조회 수: 676
추천: 0
기사
2024.12.04
조회 수: 610
추천: 0
기사
2024.12.03
조회 수: 538
추천: 0
기사
2024.12.02
조회 수: 604
추천: 1
기사
2024.12.02
조회 수: 575
추천: 1
칼럼
2024.11.29
조회 수: 1072
추천: 17
정보
2025.03.20
조회: 181
댓글:  1
추천: 3
정보
2025.02.28
조회: 554
댓글:  0
추천: 12
정보
2025.02.25
조회: 1386
댓글:  2
추천: 6
KSIA
2025.02.20
조회: 337
댓글:  0
추천: 5
칼럼
2025.01.14
조회: 2816
댓글:  8
추천: 37
정보
2025.01.09
조회: 1199
댓글:  0
추천: 12
KSIA
2025.01.07
조회: 463
댓글:  0
추천: 0
칼럼
2024.12.20
조회: 1103
댓글:  0
추천: 5
KSA
2024.12.18
조회: 224
댓글:  0
추천: 0
기타
2024.12.16
조회: 311
댓글:  0
추천: 1
KSIA
2024.12.16
조회: 708
댓글:  0
추천: 1
칼럼
2024.12.12
조회: 868
댓글:  0
추천: 3
기사
2024.12.11
조회: 676
댓글:  0
추천: 0
기사
2024.12.04
조회: 610
댓글:  0
추천: 0
기사
2024.12.03
조회: 538
댓글:  0
추천: 0
기사
2024.12.02
조회: 604
댓글:  0
추천: 1
기사
2024.12.02
조회: 575
댓글:  0
추천: 1
칼럼
2024.11.29
조회: 1072
댓글:  2
추천: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