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 구조재에 접착제를 바른 후 이를 진공 상태에 두어 접착제(glue)가 각 구조재의 틈으로 골고루 스며들어 강력하게 접착되도록 하는 기술로서, 압착식 접착 방법은 나중에 밀려나온 접착제를 깎아 내야 함에 비하여, 이런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피셔(Fischer) 사의 공법.
로시뇰(Rossignor) 사가 채택한 완충기로서, 완충 고무 띠에 쇠로 만든 케이블을 넣어 스키에 전해지는 불필요한 진동을 제거하는 장치. 이 완충 장치를 짧게 끊어서 이를 진동이 생기거나 진동을 전하는 부분에만 넣음으로써 불필요한 진동만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지퍼(zipper) 대신에 사용하는 달라붙는 천으로 암수로 된 두 개의 천을 맞대면 강하게 달라붙으므로 스키복이나 가방, 모자 등에서 많이 쓰인다.
바람이 통하는 것, 혹은 바람이 통하는 성질. 스키복과 스포츠 글라스에서의 통풍성은 스키어의 쾌적함과 건강에 도움이 됨은 물론, 안경의 안개(fog) 현상을 제거하여 시야를 맑게 한다.
관절을 돌려 틀어서 회전을 행하는 것, 혹은 '비틀기'를 이용한 회전.
반쪽 관 벽 위의 수직으로 선 부분.(보드)
'반쪽 관'의 벽의 수직 부분.(보드)
스키 경기 시 출발선과 결승선 사이의 고도차를 의미.
스키나 보드의 구조재로서 측면에 앞뒤로 길고 좁은 나무를 적층하는 것으로서 강한 탄성을 주고, 내구성이 강한 '심재'의 역할까지 한다.
'충격 흡수'와 비슷한 개념으로 '완충'이라 불리기도 한다. 설면으로부터 스키에 가해지는 충격을 다리의 신축 운동 등 스키어의 몸놀림으로 완화시키거나, 점성이 있는 물질 등 특수 소재를 스키 장비에 채택하여 완화시키는 것.
'회전'과 같은 뜻의 용어.
아무도 지나간 자국이 없는 새로 내린 눈. 이른 아침에 일어나 처음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는 승강기나 스노우캣(눈 다지는 차)을 타고 올라가 이같은 눈을 즐기는 스키어들이 많다.
스키 정비를 하기 위하여 스키를 고정시키는 물림 장치.(정비)
고정쇠에 스키를 물렸을 때,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벽돌처럼 만들어 스키 판 앞 뒤 아래에 놓아 스키가 더 이상 눌려지지 않도록 보조하는 장치. 최근에는 손잡이를 돌려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기식이 많이 사용된다.(정비)
'앞 기울이기'와 같은 뜻의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