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888 좋아요 505 댓글 1
조심스럽게 댓글을 달아봅니다.

본문 중에 연료 전지가 "무한한 에너지원"이라고 쓰셨는데, 실상은 조금 다릅니다. 연료 전지는 에너지원이라기보다는
에너지를 변환 저장하는 중간 단계라고 보는 관점이 옳습니다. 윤 선생님 말씀대로 이해하자면... 세상에 물은 무한하니
수력 발전소도 무한히 돌릴 수 있다는 이야기도 가능합니다. -0-

에너지원.이라는 개념을 적용하려면 연료전지를 만들 때 투자한 에너지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얻어내야만 하는데,
연료 전지의 필수 요소인 수소를 얻어내는 전기 분해 과정에서는 그런 네트로피 상승이 전혀 없습니다. 오히려 들어간
에너지보다 더 적은 에너지만이 수소로 변환됩니다. (천연가스 역시 마찬가지.)

따라서, 현재의 기술과 에너지 수급 단계에서 연료 전지의 운용 단가는 휘발유보다 훨씬 더 비쌉니다. 즉 화력이나
원자력 발전소에서 전기를 만들어서 -> 그 전기로 물을 분해하여 수소를 얻고 -> 그 수소를 다시 전기로 변환해서
->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로 끌어내기 때문입니다. 만약 화력 발전소의 전기로 수소를 만든다면 아예 석유에서 바로
운동에너지로 변환하는 것보다 효율이 더 떨어집니다. 천연 가스에서 추출하더라도 마찬가지 이유로 LPG 차량보다
효율이 더 떨어지게 됩니다. ㅡ 더 비싼 연료가 되는 것이죠.


연료 전지가 활성화되려면 화석 연료가 아닌 원자력이나 수력, 태양열 같은 발전소가 더 많아서 심야 잉여 생산 전력이
많아야만 가능한데, 미국이나 중국은 원자력 및 수력 발전소보다 화력 발전소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즉 "기반 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은" 나라이므로 그들 나라에서의 연료 전지는 매우 요원한 이야기일 수 밖에 없습니다. 연료 전지가
물 밖에 배출하지 않는 청정 연료라고는 하지만, 이미 그들의 발전소에서 더 많은 양의 가스를 배출한 후이니
정말 눈가리고 아옹하는 식의 논리밖에 안됩니다.


연료 전지 자체의 가능성을 무시하지는 않습니다. 충분한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는 가정하에 연료 전지는 화석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연료"로써 각광받을테니까요. 현재로써는 원자력 발전소나 수력 발전소에서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는 자동차용으로 쓰는게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운행은 거의 99.9% 이상 화석 연료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연료 전지가 활성화되면 화석 연료가 고갈되더라도 전력을 근간으로 자동차의 연료 공급 방법의 하나가 됩니다.

(사실, 연료 전지 자동차는 그냥 일반 전기 자동차에서 배터리를 연료 전지로 바꾼 것 뿐입니다. 연료 전지의 장점이라면 배터리보다 고출력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으며 메모리 효과가 없고 충전된 양을 모두 전환하여 쓸 수 있다는 점이죠. 연료 전지는 이미 AIP 잠수함 등 군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화석 연료가 고갈된 다음에 그를 대체할 수 있을 정도의 막대한 에너지를 어디서 구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도 해답을 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실 현재의 기술 수준에서는 답이 없죠. 원자력 발전소를 더 많이 짓는 수 밖에
없는데, 원자력 역시 우라늄과 플루토늄이라는 한정된 자원을 연료로 쓰기 때문에 마찬가지가 됩니다. 거의 유일한
해결책으로 제시되고 있는 핵융합로 역시 아직은 잉여 에너지를 생산하지 못하고 단지 발전 현상을 유지하는 정도만이
가능한 상태고요.

결론적으로, 연료 전지 자동차는 고유가에 지친 소비자들에게 "이게 더 싸고 더 좋다!"라는 허상을 심어주는 판촉
전략의 하나일뿐이라는게 제 의견입니다.



>전승민 선생께서 댓글을 통해 수소를 연료로 하는 자동차에 대해 언급해주셨습니다.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고, 지난 5월 경 작성했던 연료전지 자동차 관련 원고를 전재합니다.
>
>예정대로라면 이건 한참 더 있다가 써먹을 작정이었는데...^^
>
><미래의 자동차>
>
>몇 달 전 중국 국가주석 “후진타오(胡錦濤)”가 밴쿠버를 방문했습니다. 1
>50만 밴쿠버 인구 가운데 50만 명이상이 중국계인지라 후진타오의 일거수일투족이 언론에 오르내렸는데,
>후 주석의 밴쿠버 일정 중 민간 업체 관련은 단 한번이었습니다.
>“버나비"의 "마린 드라이브”에 자리 잡은 “발라드(Ballard)"라는 회사 방문이 그것입니다.
>밴쿠버 시장 면담과 중국 교민 초청 면담 등을 제외하면 기타 일정 할애에 극히 인색하던 후 주석 일행이
>이곳만은 자진해서 찾아가므로서 화제가 되었던 이 회사 발라드는 ”연료전지(燃料電池)“ 생산이 주 사업 아이템입니다.
>실제로 후 주석은 연료전지의 연구와 생산 과정을 보고자 이 회사를 방문했다고 합니다.
>
>지금 중국은 경제규모가 너무 커져서
>미국이 에너지의 수급 등을 통해 은연 중 견제하고 있다는 말이 나올 만큼 세계의 제품 생산기지가 되어 있습니다.
>작금의 석유 값 파동도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미국의 술수라는 항간의 속설이 있을 정도로,
>중국이 세계경제와 원유(原油)소비에 차지하는 영향이 큽니다.
>그런 중국의 국가주석이 유일하게 방문한 회사의 생산품목이 연료전지라는 사실은
>중국을 포함한 전 세계가 이 연료전지를 얼마나 중요한 미래의 가능성으로 생각하고 있는가를 한번에 보여준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물은 수소와 산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학교 과정 물상을 배우신 분이라면 실험 시간에 전기를 이용해 물을 분해하는 실험을 해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건전지를 연결한 막대기 두 개를 꽂아 넣자 전극 위로 산소와 수소 기포가 방울방울 생기던 모습이,
>그리고 만들어진 산소에 달구어진 철사를 집어넣으면 불꽃놀이 하듯 철사가 타들어가던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합니다.
>
>연료전지는 바로 이 물의 전기분해 과정을 반대로 실행하는 것입니다.
>산소와 수소를 결합시키면 전기가 나오게 됩니다.
>연료전지의 이론은 이곳에서 출발합니다.
>그런데 수소와 산소를 불꽃을 이용해 결합시키면(점화) 결합의 속도가 너무 빨라 폭발해버립니다.
>이래서야 폭탄을 터뜨려서 전기를 만드는 꼴이니 말도 안 되지요.
>몇 가지 해결책이 있는데 그 가운데 하나는 촉매를 이용하는 겁니다.
>백금(白金) 필라멘트 위로 수소와 산소를 흘려보내면 백금을 촉매로 해서 전기가 만들어집니다.
>촉매 대신 전해질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만,
>그리고 수소 대신 천연가스나 메탄올을 사용하기도 합니다만 기본 원리는 모두 같습니다.
>아폴로우주선, 그리고 지금 건설 중에 있는 우주정거장의 에너지원도 연료전지입니다.
>사족으로 말씀드리면 무인(無人)우주선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방사능 연료는 유인우주선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승무원에게 유해한 방사선을 차폐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연료전지는 장점이 무척 많습니다.
>첫째 깨끗한 에너지입니다.
>GM의 광고에도 나오듯 연료전지의 생성물은 물 뿐입니다.
>스모그의 원인인 산화질소 등의 유해한 가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등을 전혀 뿜어내지 않는 청정 에너지원입니다.
>둘째 에너지의 양이 무한합니다.
>물을 분해하기만 하면 수소가 나옵니다.
>그리고 연소 후의 생성물질 역시 물이므로 끝없이 재순환 시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입니다.
>셋째 원리적으로는 에너지 생성-발전(發電)- 도중 소음과 진동이 발생 하지 않습니다.
>
>이런 많은 장점을 가진 연료전지이니 미래의 자동차의 에너지원으로서 이보다 더 좋은 것은 없을 겁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연료전지를 이용한 자동차가 아직 실용화 되지 못한 까닭은
>넘어야 할 몇 가지 기술적 장벽이 있기 때문입니다.
>첫째는 적재할 수 있는 에너지의 총량입니다.
>아시다시피 수소는 LPG와는 달리 액화가 극히 어렵습니다.
>영하 170도 가까운 낮은 온도와 몇 백 기압이상의 압력을 가해야 비로소 액체 상태가 됩니다.
>기체 상태로 저장하면 에너지 밀도가 너무 낮아 몇 십 킬로미터도 달리지 못하고 연료-수소가 고갈되어 버릴 겁니다.
>두 번째는 사고 발생 시의 위험도입니다.
>일반 휘발유를 적재한 차도 사고가 발생하면 가끔 불이 일어나는데
>수소를 적재한 자동차에 사고가 났을 때의 폭발이나 화재 위험도는 일반자동차와는 비교도 안될 만큼 큽니다.
>
>-다음 주에도 계속 연료전지 자동차-미래의 자동차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Comment '1'
  • ?
    김민수 2007.02.24 08:49
    [ fixall@axion.net ]

    태양광, 풍력, 조력 등의 자연 현상에 의존한 발전의 경우 소비와는 상관없이 계속 발전이 되므로, 발전량이 소비를 웃돌때마다 물의 전기 분해에 활용할 수 있읍니다. 그렇다면, 쓸모 없어질 수 도 있었던 유휴 에너지의 저장으로서 수소 원가가 설명될 수 있을 것입니다. 직접 원료가 되는 전기 에너지의 가치는 기준 가치가 어느정도 유지되는 화석 연료와는 달리 수요와 공급에 따라 그 가치가 시시 각각으로 매우 첨예하게 변하며 사용되지 않는 잉여 전기의 시장 가치는 거의 제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좋아요
359 칼럼 유럽연합은 합법적으로 30개월이상 미 쇠고기 수입금지 최재원 2008.06.15 3563 471
358 사는 얘기 근황 김덕주 2008.06.15 3413 710
357 단상 개고기 조무형 2008.06.15 4069 645
356 단상 내가 사랑했던 YES24는... file 안중찬 2008.06.12 4753 713
355 잡담 개고기 괴담 안동진 2008.06.12 5493 865
354 기사 이명박 정부가 좋은 일 하고 칭찬 받는 법 장보성 2008.06.11 3982 753
353 기사 국내 사례를 찾습니다. 장보성 2008.06.09 3119 597
352 칼럼 400억 원 국익 손실 때문에 재협상 안 된다는 정부 최재원 2008.06.07 4028 752
351 단상 개고기(2) 개고기 찬/반 또는 합법화/불법화 이선호 2008.06.07 3908 717
350 기사 광우병에 관한 조금 안 편한 몇 가지 진실 장보성 2008.06.04 4555 690
349 단상 개고기 이선호 2008.06.03 3692 494
348 공지 100자 서평 부탁 안동진 2008.05.13 5440 549
347 칼럼 국민을 위해 목숨걸고 재협상에 나설 공직자는 없는가? 최재원 2008.05.30 3537 647
346 단상 술 못먹는 유전자 안동진 2008.05.27 6656 756
345 칼럼 정부 지지 과학자도 털어놓는(?) 쇠고기 수입 재협상을 위한 과학적 근거 1 최재원 2008.05.23 4156 725
344 기사 {장보고에 관한 불편한 진실 몇 가지} 장보성 2008.05.21 3730 622
343 단상 당신의 {디자인}은 무엇인가요? 장보성 2008.05.18 2653 545
342 칼럼 배심재판(국민참여재판)과 공판중심주의 재판의 개선을 바라며 최재원 2008.05.16 3225 626
341 칼럼 명예훼손죄의 악용으로 표현의 자유 침해하지 말아야 최재원 2008.05.16 2717 579
340 칼럼 한미 쇠고기 협의 재협상에 대한 법적, 과학적 근거 있다. 2 최재원 2008.05.15 3564 5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 143 Next
/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