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키에 관한 "질문"[스키 Q&A]에 하시기 바랍니다.
조회 수 1964 좋아요 5 댓글 0

시즌이 끝났네요. (아직 아닌 곳과 아닌 분도 많습니다^^)

 

정말 오랜만에 들여다본 칼럼 코너에서는 어깨선, 골반선, 앵귤레이션에 대한 흥미로운 토론을 읽고 간단히 생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스킹에서의 올바른 자세는 패럴랠턴과 숏턴에서 유추될 수 있다고 보여지네요.

 

외향경이 적절히 잡히지 않고 무게중심이 잘 넘어가지 못하는 패럴랠턴은 매끄러울 수 없습니다. (스키딩성) 숏턴은 상체가 폴라인 아래로 정대하고 어깨와 골반이 고정되지 않으면 역시 매끄러운 숏턴이 구사되기 어렵습니다.

 

숏턴에서 골반을 굳이 고정시킬 이유가 없지 않나? 라는 의문을 가질 수 있고, 실제로 폭이 넓은 숏턴은 조금씩 골반이 턴의 안쪽을 향하는 것을 피하기도 어렵긴 합니다. 그래야 고관절과 바깥 다리가 헐렁하지 않고 단단히 연결된 채로 상하체 트위스트까지 끌어갈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리듬이 빠른 숏턴을 구사함에 있어 골반이 턴의 안쪽으로 움직인다면 다시 반대쪽 턴을 구사하면서 또다시 턴의 안쪽으로 넣어야 하기에 골반이 좌우로 움직여야 할 것입니다.

 

여기서 문제는 (정대하지 않고) 좌 또는 우로 향한 골반은 설면과 수평이 되지 못한다는 데 있죠. 즉, 좌우로 움직이면서 다시 설면과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위 아래로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제 더 이상 골반 아래를 축으로 리드미컬한, 그러면서도 의식적으로 힘을 이리 저리 쓰지 않으면서 관성적 운동을 그려내는 데에는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될 것입니다.

 

이 지점에서 "굳이 설면과 수평을 유지하지 않아도 되지 않나?" 라는 의문을 가져볼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입체적으로 생각해 보면 골반과 어깨선이 설면과 수평을 이루지 못한다는 것은 곧 설면에 수직으로 서지 않는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즉, 중력의 방향에 어긋나 비스듬하게 서 있는 것과도 비슷하겠죠.

 

우리가 지면에 서면서 가장 편한 자세가 가장 중력(외력)에 적은 힘을 쓰면서도 제대로 힘의 균형을 이룬 상태일 것임은 당연합니다.

 

서서 어깨선과 체축을 비스듬하게 기울여 보세요. 설 수 있을까요? 해보시면 아주 아주 조금만 기울여질 뿐이고 그나마 어깨선과 골반선을 지면에 맞춰야 조금더 버틸 수 있을 뿐입니다.

 

따라서 중력에 가장 효율적인 자세는 그대로 똑바로 서는 것임에 틀림이 없어 보입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충격흡수를 위해 척추선이 일직선은 아닙니다만)

 

이와 같이 스킹에 있어서도 평지에서나 경사에서나 설면에 골반과 어깨선이 수평에 맞춰지거나 근접할 수록 가장 자신의 억지스러운 힘이 외력을 방해하거나 힘을 소모하지 않는 효율적인 포지션이 될 것 같습니다.

 

자 이제, 설면에 그대로 서 있기만 하면서 경사면을 내려간다면 그건 직활강이 될 뿐입니다. 물론, 본인의 운동신경의 차이에 의해 초보이면서도 직활강하면서 잘 후경에 빠지지 않고 설면과 수직으로 서서 무시무시한 속도로 내려오는 분들이 간혹 있습니다. (살인무기죠... )

 

회전을 하기 위해서는 몸을 축으로 스키가 돌아야 합니다. 이 축을 다음 회전호의 중심으로 옮기는 무게중심의 이동을 얼마나 잘 하느냐가 사실 스킹의 50% 이상을 좌우한다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최대 가압점을 지나고 다시 다음 호에서 스키에 외력이 느껴지는 순간까지의 전환구간에서 그대로 산돌기로 끝나게 될 원심력의 작용구간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엣지를 풀고 몸을 계곡방향 (엄밀히 정확히 계곡방향은 아닐 것입니다. 스킹은 진행하고 있으니까요. 따라서 진행방향과 다음 턴의 중심인 계곡방향의 중간 정도로 몸이 던져지는 느낌이어야 맞을 것 같습니다) 잘! 던져져야 합니다.

 

그리고 이 전환구간에서는 불필요하게 엣징이 먹히지 않으려면 우리가 엣징을 가하는 구간에서 어깨선을 설면에 수평으로 하는 포지션을 굳이 요하지 않습니다. 이 구간에서 앵귤레이션 즉, 체축의 꺽임이 만들어지면 턴의 초반부터 엣징이 가해지고 정작 폴라인에서 최대 가압점까지의 구간에서 최대 효율을 가하지 못하게 되어 좀 헐렁한 턴이 될 것입니다.

 

반대로 폴라인 ~ 최대가압점 구간에서는 현실적으로는 정확히 맞추지는 못하더라도 최대한 설면에 수평을 맞추어야 가장 힘을 덜들이면서 외력에 훌륭히 작용하는 체축이 만들어 지게 됩니다.

 

왜 그럴까요? 원심력과 벡터 때문일 것 같습니다.

 

잘 이동된 무게중심과 턴의 초반은 새로운 원호를 그리며 원심력을 갖게 됩니다.  잘 타시는 분들 - 저는 못타지만,,, - 은 턴 전환구간에서 초반까지 잘 풀고, 잘 넘기고, 잘 던지고, 잘 체축을 유지하시는 분들입니다. 

 

이렇게 새로운 축으로 원호가 형성되면 바로 밖으로 던져지려는 원심력이 작용합니다. 그 방향과 설면의 수직인 중력의 작용방향의 벡터와 원심력의 작용방향 벡터, 아래로 떨어지는 벡터의 입체적 조합이 잘 되어야 비스듬하게 기울여진 고관절에서 무릎, 발목으로 이어지는 다리축에 가장 최적의 힘이 작용하고 외력에 잘 맞서게 될 것입니다.

 

수평에서 턴의 안쪽으로 어깨선이나 골반이 기울어질 수록 바깥발에 힘이 들어가는 느낌은 그 정도만큼 희석되겠죠. 그럴 때마다 우리는 스키가 밀린다며 죄없는 스키탓을 하고 그 것의 극단이 몸턴으로 이리 저리 기울이며 억지로 운동에너지, 위치에너지에 맞서 버티려는 현상이 됩니다.

 

내가 억지로 만들어내는 위치(포지션 이동)은 여러 벡터와 잘 어우러지지 못하고 오히려 방해하면서 찍찍이를 만들고 헐렁한 턴을 만들고 슬립이거나 과도한 에징으로 턱턱 걸리는 턴이 되거나 말이죠..

 

세 가지 회전 운동(좌우 회전, 전후 기울어짐, 좌우 기울어짐) 의 벡터 조합이 운동신경과 학습(스킹의 양) 원리의 이해와 잘 조합되면 최고의 스킹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전 운동신경부터 낙제점입니다만)

 

한번에 적어가느라 두서가 없었습니다.;;

 

드리고 싶은 요지는 스키는 보이지 않는 힘을 잘 타고 넘나드는 운동이라고도 할 수 있고, 하나의 벡터인 중력을 잘 활용해서 궁극적으로 최대효율의 가압과 턴을 만들어내려면 골반과 어깨선의 설면과의 수평유지(의식)은 기본 중의 기본이라고 하겠습니다.

 

1/100 초를 다투는 레이싱일 수록 더 그러하고 속도경쟁이 아닌 폼 경쟁에 가까운 데몬 스킹에서는 상대적으로 필요성은 덜 합니다만 (즉, 완전한 수평까지는 필요 없다는) 수평의 필요성을 알면서 때때로 완급 조절을 위해 수평을 덜 맞추는 것과 필요성을 모르면서 안 맞추는 건 다르겠죠.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좋아요
359 칼럼 스키는 왜 고인물이 되었을까 ? 인류 역사에서 중요 발전 동력중 하나는 '차별화=나는 너와 달라' 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가용이 귀하던 시절 생각해 보세요. 동네에 자가용 한 대 서 ... 9 최용훈 2020.01.23 3166 35
358 칼럼 이게 다 인터스키 때문이다 ! 네 일부러 자극적인 제목 달았습니다. 스키를 사랑하는 1인으로서 작금의 사태 (스키어 감소, 꼰대 논란, 슬로프 사고 등등)에 대해 평소 생각 적어봅니다. 골프... 29 최용훈 2020.01.22 3328 42
357 칼럼 이 커뮤니티의 꼰대스러움에 대한 반론 저도 30대 초부터 10년 넘게 스키를 탔습니다. 이제 40대니 꼰대가 되었으려나요.     글 쓰신 분이 만약에 5년 이상 스키를 꾸준히 타신다면 지금 올리시니 글이... 48 이광호(서울) 2020.01.17 3217 25
356 칼럼 이 커뮤니티의 꼰대스러움에 대하여 먼저 저는 스키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많은 사람은 아닙니다. 기껏 시즌에 열 번남짓 겨울 취미로 스키를 즐기는 정도의 사람입니다. 정보를 찾다가 이 커뮤니티... 136 정진영 2020.01.16 5983 97
355 칼럼 하중의 위치(김창수 프로님의 댓글에서) 6 file 우지용 2020.01.07 2084 4
354 칼럼 副題 : 스키가 오래되면 성능은 어떻게 달라지나 17년 된 'FISCHER RADARC' 비대칭 스키의 마술 같은 구조. (副題 : 스키가 오래되면 성능은 어떻게 달라지나 )      - 아래 본문 중에서 - 이 '레이닥' 스키는 17... 2 윤석원 2020.01.05 2159 1
353 칼럼 파우더 스키의 미드솔 포지션과 부력의 변화에 대한 이해. 파우더 스키의 미드솔 포지션과 부력의 변화에 대한 이해.     알파인 스키와 파우더 스키의 미드솔 포지션 이해는 동일하다.  바인딩 위치에 따라 스키의 성질이... 1 윤석원 2020.01.05 451 0
352 칼럼 스키 엣지정비에 있어 효율과 결과가 결정되는 조건. 스키 엣지정비에 있어 효율과 결과가 결정되는 조건. (副題 : 스키와 스노보드의 수명)     스키와 스노우보드의 베이스 상태는 사이드와 베이스 엣지의 정비 효... 11 윤석원 2020.01.03 3399 17
351 칼럼 겨울 스포츠 의 꽃 스키를 하고 싶은데 .... 5 file 리쳐드박 2019.11.12 1494 5
350 칼럼 스키 강사들은 쉬지 않고 여름에도 열심히 훈련하고 있다 2 file 리쳐드박 2019.08.04 1405 4
349 칼럼 2019 PSIA-AASI National Academy를 다녀 와서 ... 7 file 리쳐드박 2019.04.22 1386 4
348 칼럼 제가 요즘 스키가 재미있어졌어요. 2 file 리쳐드박 2019.04.09 1699 3
347 칼럼 44년생이신 분이 스키에 반해 버린 이유 10 file 리쳐드박 2019.04.02 1786 10
346 칼럼 나는 왜 그토록 스키에 미쳐있는가 44 file 신정아 2019.03.27 3963 30
345 칼럼 여러분은 평균적(?)으로 스킹하고 계십니까? 평균, 남의 눈 지나치게 의식하지 말고 독립적이고 창의적인 인재가 되라 하면서도 '튀지말라' 고 하고, 일에 있어서도 '정무적 판단이 중요'하... 1 한상철 2019.03.19 2070 4
» 칼럼 어깨와 골반, 벡터와 원심력, 그리고 지향해야 할 스킹 자세 시즌이 끝났네요. (아직 아닌 곳과 아닌 분도 많습니다^^)   정말 오랜만에 들여다본 칼럼 코너에서는 어깨선, 골반선, 앵귤레이션에 대한 흥미로운 토론을 읽고 ... 한상철 2019.03.14 1964 5
343 칼럼 새로운 스키시즌을 잘 맞이하기 위한 3가지 팁. 새로운 스키시즌을 잘 맞이하기 위한 3가지 팁.   언제나 새로운 스키시즌은 가슴을 설레게 하는 것 같다. 시즌 내내 스키가 잘타져 행복하고, 장비에 거부감이 ... 6 윤석원 2018.12.12 5665 2
342 칼럼 고속 카빙턴에서의 어깨선과 상체 방향 33 file 임종철 2018.12.10 7324 18
341 칼럼 2018 FIS 월드컵 여자 알파인 스키 금메달 - 역시 쉬프린의 시대네요. 6 file 박순백 2018.11.21 1235 3
340 칼럼 KSIA의 레벨 시험시 스키 용어에 대해 10 file 임종철 2018.11.13 1946 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20 Next
/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