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59 좋아요 0 댓글 0

osaek2016ayy0273.jpg

임동창 노고단을 찾은 임동창 선생께서 지리산자락의 숲을 스치는 바람을 온몸으로 느끼고 있다. 여리면서도 미세한 움직임과 소리에 집중할 수 있는 과정을 통해 비로소 자연의 섬세한 소리들이 연주란 형식을 통해 많은 이들을 감동시킨다. ⓒ 정덕수

 

물은 물의 소리가, 바람엔 바람의 소리가 있듯 자연은 다양한 소리들이 끊임없이 합주를 한다. 물의 소리를 물의 소리답게, 바람의 소리를 바람의 소리답게 전달하고 들려줄 수 있는 분야가 여럿 있지만 그중에서도 음악을 누구나 가장 먼저 떠올린다.

 

음악에 대해 조예가 깊은 것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음악을 싫어하는 건 아니다. 제법 많은 연주자들과 친분을 유지하며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듣지만 공연장을 찾는 일은 거의 없다. 물론 최근 몇 분 인연된 분들의 초대로 소규모 공연이 아닌 말 그대로 전문 공연장에서의 공연, 정확하게 말하면 연주를 들을 기회도 가졌다.

 

1980년대 초까진 녹음이 가능한 카세트테이프를 재생하며 라디오까지 들을 수 있던 제법 큰 재생도구를 사용해 영화음악이나 좋아하는 팝송을 들었다. 그리고 점차 소형화된 재생도구로 소형 헤드폰을 사용해 듣던 음악들은 탄노이 웨스트민스터(Tannoy Westminster) 스피커로 듣는 음악과 견주어 전혀 손색이 없다면 미친놈 취급 받겠지만 실로 경이로웠다.

 

음악다방이 번성하던 1980년대 ‘JBL’이란 로고가 선명한 스피커를 통해 듣던 음악들도 실상은 시낭송 때문에 음악다방을 드나들게 되면서 익숙해졌다. 노래 한계령이 된 한계령에서를 1981년 10월에 썼으나 이를 처음 낭송한 때가 1983년이 된 이유는 단순하다. 바로 이때부터 음악다방에서 시낭송을 해달라는 부탁을 받았고, 몇몇 DJ 친구들이 자신들이 일하는 시간에 맞춰 토요일과 일요일 저녁시간 불렀다.

 

모든 부탁을 다 받아들일 수 없는 입장에서 주중엔 도저히 시간을 낼 수 없었고, 주말저녁과 일요일 저녁시간에 맞춰 때로는 마장동 시외버스터미널에서 택시로 음악다방까지 달려가기도 했다.

 osaek2016ayy0274.jpg

임동창 지리산 달궁계곡에서 물의 흐름과 소리에 집중하는 임동창 선생께서 늘 하는 말씀이 있다. “한국인의 소리는 한국인의 몸에 밴 가락이라야 된다. 서양의 악보에 노랫말만 한국말을 썼다고 우리노래가 될 수 없다.” 우리가 부르는 애국가가 그 대표적인 사례란 걸 몸소 보여주기도 한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닮도록’을 영어로 바꿔 애국가 곡에 맞춰 불러보면 확실하게 알 수 있다. ⓒ 정덕수

 osaek2016ayy0275.jpg

폐품으로 제작한 악기 지난 6월 완주군에 있는 임동창 선생님의 풍류학교 생활관을 찾았을 때 전에 못 보던 다양한 도구들이 눈에 들어왔다. 19일부터 21일까지 사흘간 그곳에 있을 때 무엇을 하고자 만든 물건들인지 의문이 들었지만 나중에 직접 확인하면 된다는 생각으로 사진만 촬영해 두었다. ⓒ 정덕수

 osaek2016ayy0277.jpg

전주소리의전당 모악당 고물상에서 구한 다양한 철물들이 어떤 소리로 화음을 이룰 수 있을지 궁금하다. 스테인리스파이프 도막부터 볼트와 너트, 냄비와 뚜껑은 물론이고 소리가 울릴 수 있는 다양한 철물들이 각각의 화음을 위해 합쳐진 모습과, 깡통을 줄로 엮어 놓은 건 분명 착차스(Chakchas)란 안데스 음악에서 야마의 발톱을 모아 줄로 엮어 흔드는 악기와 같은 용도로 쓰이리라. 현으로 된 악기와 바람을 불어 넣어 공명을 통해 음을 만드는 악기 이전엔 두드리고 흔드는 가장 원초적인 방법으로 음을 만들고 흥을 돋웠으리라. ⓒ 정덕수

 osaek2016ayy0278.jpg

임동창 풍류공연 무대에 조명이 들어오고 공연이 시작된다. 가장 원초적 음악인 두드림과 흔들어 소리는 만드는 행위만으로 근사한 화음이 만들어진다. 현대의 문명에서 쓰임을 다해 재생과정으로 돌아갈 물건들이 무대에서 당당하게 타악기로 거듭났다. ⓒ 정덕수

 

서두가 길어졌는데, 고음부와 저음부의 음역을 생생하게 현장감 살려 전달할 수 있는 스피커에 대한 설명부터 시작해야 이 이야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란 판단에서다. 이어폰이나 헤드폰으로 듣는 음악이나 소리들도 실상 저음부를 직설적으로 전달하는 스피커엔 미치지 못한다. 등부터 후려치며 심장을 관통해 뚫고 퍼지는 전율, 전쟁영화나 베토벤의 운명 도입부와 같은 박진감 넘치고 웅장한 소리를 이어폰과 헤드폰으로는 오롯이 살려내기엔 무리다.

 

하지만 장점도 있다. 차량이 질주하는 도로의 상황이나, 멀리서 다가와 스치고 사라지는 발자국소리나 물과 바람 등 여리고 섬세하면서도 동적인 장면은 선명하게 그려낼 수 있다. 웨스턴민스터 스피커나, 혼(Horn)이란 말 그대로 나팔을 뜻하는데 확성기의 앞부분을 자세히 본 이들은 알겠지만 소리가 흩어지지 않도록 소리를 모아 큰 소리를 내게 제작된 스피커들이 대부분 JBL로 이런 장치를 통해 듣는 소리도 이젠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는 환경이 됐다.

 

물론 지금도 어느 정도 마음에 들도록 음향설비를 갖추려면 몇 백 만원은 지불할 용의가 있어야 되지만 예전에 비하면 높은 출력의 스피커들이 많아 선택의 폭이 넓다.

 osaek2016ayy0258.jpg

임동창과 흥야라단원 ‘아무 것도 할 것이 없구나. 그저 놀기만 하면 되는 것을… 논다는 것은 삶을 흐르게 두는 것이며, 바람과 하나 되는 숨결을 이루는 것이다. 이것이 풍류로다’란 임동창 선생의 표현 그대로, 그리고 임동창 선생께서 사용하시는 ‘그냥’이라는 명칭처럼 그냥 절로 흐르게 두는 것이 삶이고 흥이란 걸 이제 조금씩 깨달아 간다.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노천에서도 연주를 하는 임동창 선생과 흥야라 단원들의 모습으로 10월 11일 저녁 철원의 논두렁을 매워 임시 만든 넓은 마당에서 촬영했다. ⓒ 정덕수

 osaek2016ayy0282.jpg

풍류마당 임동창 풍류의 백미는 모든 사람이 참여하여 어우러지는 마당이다. 선 듯 나서지 못하는 이들도 많지만 어떤 공연이나 대부분 무대가 비좁을 정도로 많은 이들이 함께 어울려 신명을 나눈다. 멋을 부리지도 않고 있는 그대로의 흥에 몸을 맡긴다. ⓒ 정덕수

 osaek2016ayy0276.jpg

구멍이 뚫린 댐퍼페달 닮아 구멍이 뚫린 피아노의 페달이다. 이 페달들은 각각 명칭이 다른데 왼쪽부터 순서대로 소프트 페달과 소스테누토 페달, 댐퍼페달이다. 여기에서 구멍이 뚫린 페달이 바로 댐퍼 페달로 이는 소리가 울리도록 하는 효과가 있어 풍부한 음을 만들 때 사용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하여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이 구멍이 뚫린 페달을 촬영한 뒤 확인해보니 피아노 건반을 치면 건반에서 해머에 이르는 장치가 움직이는데, 양모로 된 둥그런 방망이처럼 생긴 해머가 현을 때려 소리를 만든다. 현은 한 음에 3개로 이루어져 있어서 함께 울린다. 해머가 현을 때려 소리를 만들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갈 때 양모로 된 댐퍼가 현을 잡아 현이 더 이상 울리지 않게 된다. 그런데 댐퍼 페달을 밟고 있으면 양모로 된 댐퍼들이 현을 누르지 않아 진동하고 있던 현은 계속 공명해 소리를 낸다. 따라서 댐퍼페달을 밟은 상태로 연주하게 되면 먼저 친 음들이 지속되어 나중에 친 음들과 섞여 울린다. ⓒ 정덕수

 

‘어떤 명기로 연주를 해야 좋은 소리를 구현할 수 있을까’란 생각을 한다. 작은 악기 하나에 수 천 만원을 호가하는 현실에서 ‘어떤 소리를 연주해야 될까’란 차이에 대해 판단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 문제는 단순하게 판단해서는 안 된다.

 

분명한 건 반복적인 노력만큼 확실하게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은 없다는 진실이다. 단 한 번의 경험만으로도 대단히 훌륭한 작품을 남길 수 있기도 하지만 이는 특수한 경우다. 직접적인 체험을 통하지 않고 유추만으로 작품을 만들기도 하지만 이 또한 대단히 어렵고 신기한 일이다. 따라서 절대다수의 창작품들은 경험을 바탕으로 탄생된다.

 

몇 번 기회가 되어 임동창 선생님과 동행했다.

 

이때 선생님은 항상 다른 가족들(여기에서의 가족은 임동창 선생님의 부인이신 이효재님이 아니라 풍류학교와 흥야라 단원들이다.)의 움직임에 방해되지 않도록 배려하며 자신만의 시간을 가졌다. 1~2명의 제자가 곁을 지키지만 이 제자들도 반드시 그리해야 해서가 아니라 이 순간을 통해 또 다른 과정으로 넘어가기 위한 배움의 시간을 갖는다는 걸 최근에서야 깨달았다.

 

임동창 선생님께서는 항상 자연 그대로의 소리들에 집중한다. 좋은 풍경도 물론 보지만 이 순간에도 물과 바람의 소리들에 더 집중해 귀를 기울였다.

 

지리산 달궁계곡과 노고단에서도 그런 모습이었고, 설악산 자락 오색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철원의 고석정에서도 깊고 푸른 강물의 흐름과 소리에 집중하며 가족들의 즐거움을 구속하지 않았다.

 osaek2016ayy0280.jpg

임동창 임동창 선생께서 고안한 국악에 어울리는 피아노가 있다. ‘피앗고’로 이름이 붙여졌는데 완주나 전주라면 피앗고를 이동해 연주가 가능하지만 거리가 먼 고장에서의 공연엔 피앗고를 옮기기 어렵다. 이때 전담 기사가 피앗고에 사용되는 해머를 가져와 현장에서 기존의 피아노 해머를 떼고 조립을 해 피앗고와 같은 소리가 연주되도록 한다. “절로 되었다”는 임동창 선생의 피아노 연주는 천부적으로 음을 해석하는 능력과 함께 페달이 닮아 구멍이 생길 정도로 몰입하여 연습한 결과다. ⓒ 정덕수

 

숲에 들어 바람이 숲을 어루만지는 소리를 귀로 들으며 몸으로 느끼고, 작은 여울이 바위를 부딪치며 내는 소리나 깊고 푸른 큰 강의 흐름도 본연의 소리를 듣고자 했다.

 

자연 이상의 명작 다큐멘터리도 없고, 스케일이 웅장한 합주도 없다.

 

자연 이상으로 힘이 넘치는 연주를 만나기도 어려우며, 풍부한 입체적 음향을 재현하기도 어렵다.

 

이 소리들을 듣고자 하는 이들의 만족할 줄 모르는 집요한 움직임을 바탕으로 음향기기를 제작하는 곳은 끊임없이 연구를 거듭하며 명품들을 제작하고, 음악가와 시인들은 일생을 자연의 모습과 소리들을 쓰고 그려내고자 한다.

 

임동창 선생님의 음악이 대단한 것은 바로 이런 노력들이 있음으로 가능하다. 절대적인 가치를 지닌 무궁의 소리를 길어 올려 궁극을 도모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좋아요
65 시/문학 박근혜의 모습을 소설 혜주가 예고했다. file 정덕수 2016.11.02 1147 2
» 여행/사람 자연의 소리를 오롯이 풀어내는 피앗고의 명인 임동창 file 정덕수 2016.10.19 759 0
63 자연/풍경 무릎을 굽혀야 만날 수 있는 물매화의 아름다움! 1 file 정덕수 2016.10.04 715 0
62 자연/풍경 주전골과 만물상 등 오색의 절경을 조망할 수있는 망경대 file 정덕수 2016.09.26 781 0
61 요리/맛집 가을의 진객 양양송이버섯과 송이버섯전골 3 file 정덕수 2016.09.21 1394 0
60 여행/사람 국민만 깨끗하라고 억지 부리는 정부에게! 16 file 정덕수 2016.09.04 1266 1
59 여행/사람 양양군에 역사 기록에 없는 자기소가 있었다면? 2 file 정덕수 2016.08.30 815 1
58 시/문학 ‘한계령’, 그리고 35년 뒤 ‘다시 한계령에서’ 1 file 정덕수 2015.09.21 2017 0
57 여행/사람 오색삭도설치 찬반 입장을 들어보며 3 file 정덕수 2015.08.27 1189 0
56 요리/맛집 집밥에 대하여 5 file 정덕수 2015.07.26 2307 0
55 여행/사람 자연의 품성을 닮아가는 이들의 삶 2 file 정덕수 2015.05.13 1026 0
54 시/문학 이생진 시인의 아름다운 시세계를 만나다! file 정덕수 2015.04.28 1281 0
53 여행/사람 임동창 선생님과 나누는 텅 빈 소통 2 file 정덕수 2015.04.23 853 0
52 여행/사람 임동창 사랑방 풍류 “인류의 보물과 놀자” 4 file 정덕수 2015.04.12 1018 0
51 시/문학 사나운 바다 같은 전율을 이 목소리로! 4 file 정덕수 2015.03.23 1038 0
50 시/문학 예리성(曳履聲) 아닌 줄은 번연(判然)히 알건마는 2 file 정덕수 2015.03.17 2998 0
49 시/문학 시의 확장성을 한 없이 넓은 범위로! file 정덕수 2015.03.11 991 0
48 시/문학 내 어머니의 고리짝엔… 2 file 정덕수 2015.03.06 1072 0
47 시/문학 마음을 흔들어 울림을 전하는 목소리… 4 file 정덕수 2015.02.24 1027 1
46 시/문학 시와 더불어 나누는 차(茶) 한 잔 2 file 정덕수 2015.02.20 1083 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